본 연구서는 1957년에 출간되었던 『교리에 대한 질문』의 역사적 배경과 이 재림교회 역사의 한 국면이 그 후 불러온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후유증과 악영향들에 대해서 조명하고 있다. 이 책은 그 당시 칼뱅주의 신학 사조의 대변자이던 월터 마틴을 비롯한 일련의 복음주의파 이단 감별사들과 소명의 재림교회 지도자들 간에 있었던 대화의 한 결과로 산출된 작품이다. 이러한 과정은 일반 기독교계로부터 이단이라는 비난을 피하고 그들로부터 그리스도 안의 한 형제로 인정받기를 갈구했던 그 당시 일부 재림교회 지도자들의 선의지만 지극히 인간적인 발상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출간된 이 책이 결과적으로는 재림교회의 초기부터 확고히 견지해 왔으며 증언 말씀을 통해 누누이 강조됐던 몇 가지 가르침과 교리들에 대해, 공식적인 절차 없이 변칙적으로 수정을 가하려고 했던 그 당시 일부 지도자들의 무리한 의도를 입증해 주고 있다. 그리하여 이 책의 출간과 또 그 후에 지속되어온 이 책에 대한 극심한 반발로 말미암아, 지난 반세기 동안 재림 교회는 심각한 신학적 혼란과 분열을 경험해 왔으며 세 천사의 기별을 전하는 남은 무리로서의 소명 의식은 적어도 이 책의 영향을 많이 받은 북미주와 유럽 및 호주 등의 교회들은 물론 이제는 한국의 교회에서도 크게 침체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 원인은 도저히 융합될 수 없는 칼뱅주의(Calvinism)와 아르미니우스주의(Arminianism)라는 두 갈래의 신학 사조를 접목하려는 무리한 시도에 있었는데, 그로 인해 인간 본성과 죄론은 물론 구원론에 있어서 전통적인 재림신앙의 기조적 가르침들을 희석하고 약화시키는 새로운 복음주의파 신학 사조가 이 유감스러운 책을 통하여 재림교회 안으로 침투했기 때문이다. 요즈음 교회 내에서 일부 목회자들과 신학자들에 의해 원죄론적인 인간론과 죄론 및 구원론의 신학 사조가 마치 재림신앙의 한 정수인 것처럼 그들의 설교와 서적들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데, 그러한 가르침은 실제적으로 1955-1957년에 걸쳐 있었던 복음주의파 대변인들과 재림교회 지도자들의 대화로 출간된 바로 이 『교리에 대한 질문』에서 그 시작점을 가지고 있음을 우리가 직시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지난 반세기 동안 재림교회 안에서 일어난 크게는 데스몬드 포드의 성소론 부인과 같은 사건들, 혹은 최근에 이상구 박사와 같은 이들이 제시하는 혼탁한 주장들과 같이 불미스럽고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만드는 거의 모든 현상들이 바로 이 『교리에 대한 질문』으로 대변되는 1955-1957년의 역사적 사건이 초래한 논리적 귀결인 바이다. 그 옛날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들의 불신으로 가나안의 변경을 40년동안 배회하면서 한 세대가 소멸되었던 것처럼, 근대의 재림교회도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신뢰하기 보다는 세상의 인정을 받기를 원했던 불신으로 인해 하늘 가나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지난 반세기 동안 이 세상의 황무지를 배회하는 쓰라린 경험을 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여기서 이 연구서를 읽는 독자들에게 주지하고 싶은 점이 한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우리 재림교회가 견지하는 교리적 입장의 수정은 세계의 교회 대표들이 참가하여 5년마다 개최되는 회기 중의 대총회에서만 허용된다는 사실이다. 이 명확한 사실을 인식한다면, 복음주의파 대표들과 대화를 거친 후 그들의 요청으로 출간된 이 『교리에 대한 질문』을 통하여 재림교회가 그전까지 변함없이 유지해 왔던 그리스도의 인성 및 성소봉사에 대한 가르침에 일련의 방향 수정을 변칙적으로 시도했던 그 당시 교회 지도자들의 과오를 우리가 직시할 수 있다. 그리고 그동안 한국 재림교회의 일련의 신학자 및 목회자들에 의해 이 책이 마치 재림교회의 정통적인 교리를 대변하는 일종의 공식 문서인 것처럼 일반 성도들에게 제시되어 왔는데, 우리가 교리 수정에 필요한 올바른 절차를 알고 있으면, 그러한 일부 인사들의 사견은 지극히 근거가 없는 주장임을 쉽게 파악하게 된다. 특히 그 당시 『교리에 대한 질문』의 원고를 읽은 리뷰 앤드 헤럴드 출판소 편집위원들을 포함한 여러 명의 학자들과 사역자들이 그 원고의 작성자인 리로이 프룸 (Leroy Froom)박사를 비롯한 교회 지도자들에게 상당한 이의를 제기하면서 여러 번 교정을 시도하였지만, 그러한 항의가 의도적으로 묵살되었음은 최근에 발표된 여러 박사학위 논문 및 학술회 논문들을 통해서도 밝혀진 바 있다 (남주혁 박사의 박사학위 논문 『Reactions to the Seventh-day Adventist Evangelical Conferences and Questions on Doctrine 1955-1971』 참조; 그 당시 항의와 이견을 제기하며 경종을 울렸던 인사들로는 레이먼드 코트렐[SDA성경주석 부편집인], 프랜시스 니콜[리뷰 앤드 헤럴드 편집인], 멀린 네프와 리처드 루이스[퍼시픽 출판소 편집인들], M. E. 커언과 R. R. 비츠[대총회 행정자들], 시어도어 칼시치[중부 연합회장], 그리고 물론 앤드리어슨[은퇴한 신학자] 등이 있었다). 그리하여 『교리에 대한 질문』은 리뷰 앤드 헤럴드 출판소 편집위원들의 편집 감독을 거치지 않고 인쇄되어 출간되었는데,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이 책이 일부 인사들이 왜곡해온 것처럼, 재림교회의 공식 문서가 결코 되지 못함을 잘 조명해 주는 한 면목이라고 할 수 있겠다.

더불어 이와 관련된 한 가지 흥미로운 역사적 사실이 있는데. 1978년경 교회 지도층에 대한 불신풍조의 점진적 상승에 대해 염려하던 교회 지도자들이 그 당시 『리뷰 앤드 헤럴드』지의 편집인이었으며 후에 엘렌 화잇 유산관리위원회 이사장으로 임명된 케네스 우드 박사에게 그러한 경향의 원인과 배경에 대하여 조사하여 1978년 2월에 예정된 교회 지도자들의 PREXAD (President’s Executive Advisory Committee) 회의 중 발표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노소카 파인즈에서 개최된 1978년 PREXAD 회의에 초청된 교회 지도자들에게 발표되었던 논문, 『HOW WE GOT WHERE WE ARE: A Review of Some Aspects of Adventist History Since 1955』에서, 우드 박사는 여기에 번역 발표된 데이브 피들러 장로의 연구서 내용과 일맥상통한 역사적 분석을 제시하였으며, 교회 지도층에 대한 불신풍조의 직접적인 주요 원인으로 1955-1957년에 있었던 복음주의파 대표들과의 대화 및 『교리에 대한 질문』의 출간과 연루되어 취해진 일련의 의혹스러운 조치들이었음을 냉정하게 지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 객관적인 역사적 분석들에 비추어 볼 때, 정통적인 재림신앙을 추구하며 하나님의 남은 백성으로서의 소명에 충실하려는 재림성도들은 1957년 이후 재림교회 안으로 침투한 칼뱅주의적 복음주의파 신학사조로 혼잡해진 현재 교회 풍정의 원인을 올바로 파악하면서, 동시에 역사적 재림신앙의 성서적인 가르침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복구하여 남은 백성들이 지녀야 할 삶의 양식과 소명감을 회복하도록 기도하며 정진하여야 할 것이다.

역자: 김정대 (Justin Kim)


1955년 봄 매우 특이한 기회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 세계 본부인 대총회에 찾아왔다. 그것은 월터 마틴(Walter Martin)의 방문이었다. 그는 존더반 기독 출판사의 이단 문제 연구와 기독교 변증부서를 담당한 젊고 유망한 신학자로 『이단들의 발흥』이라는 책을 저술하고 그 책에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를 그 혐오적인 집단에 속한 무리로 분류한 사람이었다. 그런 그가 이제 재림교회에 대하여 좀 더 알기를 원한다며 찾아온 것이다.

그 당시 유명한 개신교의 신앙 잡지였던  『이터니티』로부터 재림교회 교리를 철저히 파헤치는 기사를 써 달라는 위임을 받은 마틴은, 자신의 조사가 재림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결론에 도달하게 될 것으로 당연히 생각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기는 공정하고 완벽한 평가를 원한다는 의사를 표명하였고, 그러기 위해서 재림교회 지도자들을 직접 만나 보고 그들로부터 재림교회의 역사적 자료를 입수하고 싶다고 말했다. 재림교회 지도자들에게 제시한 그의 요청을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부디 협조하라는 것이었다.

그때 일을 회고하면서 오늘날 어떤 이들은 애당초 그를 상종한 것 부터가 잘못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만일 그런 요청을 우리가 받는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우리 스스로가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도 바울이, 자기를 적대시할 사람이라 해서, 무엇이 알고 싶어 찾아온 사람에게 자기가 알고 있는 복음의 비밀을 말해 주기를 거절했으리라고도 우리가 도저히 상상하기 힘들지 않는가? 아무튼 자기의 요청을 수락 받은 월터 마틴은 그해 3월 뉴욕주 나약 선교 대학에서 히브리어를 강의하던 조지 캐넌 교수와 함께 첫 번 회담을 갖기 위해 대총회에 나타났다.

몇 마디 말이 오가지 않아서 월터 마틴은 상당히 치밀한 질문 목록으로 무장하고 온 것이 드러났고, 그 질문들에 제대로 답하기 위해서는 역시 치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 분명해졌다. 결국 질문과 답변이 모두 서면화 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야 쌍방이 무슨 말을 주고받았는지 기록으로 확실히 남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우선 재림교회 대표 세 사람-신학자 겸 저술가인 리로이 프룸, 대총회 서기 월터 리드, 동펜실베니아 합회장 토비 언루는 우리 교리를 간략히 소개하는 문서와 그 내용에 대한 증빙 자료로서 우리 교단이 발행한 몇 가지 서적과 정기 간행물들을 한 아름 마틴에게 건네 주었다.

그 이튿날 밤은 매우 바빴다. 프룸 목사는 우선 일차 질문들에 대해 20여 페이지가 넘는 답을 꾸며 주었고, 마틴은 새벽 2시까지 재림교회의 문헌을 읽는 데 시간을 보냈다. 다음 날 양측이 다시 만난 자리에서 우리측은 그로부터 재림교회가 기독교로 인정받을 만하다는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단 그것은 자기가 받아 읽은 자료가 교단 전반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단서가 붙은 발언이었다.

하지만 1931년에 작성된 우리의 기본 신조는 부분적으로 문제되는 부분이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리고 마틴은 우리의 문헌들과 소책자 및 정기 간행물에 비정통적 표현이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하며 그 까닭을 물었다. 그가 “논란의 여지가 없는 이설”이라고 여기는 몇 가지 예들을 마틴이 제시했을 때, “재림교회 지도자들은 충격과 경악을 금치 못했고”[1] , 거기에 대해 그들은 다만 그것들이 “시정되고 있는 중” 이라고만 간단히 대답했다.[2]

회담이 계속되는 동안 이런 상황은 계속 반복되었다. 확실히 이 회담은 하루 이틀로 끝날 성질의 것도 아니었고 문제의 성격이 단순한 것도 아니었다. 8월초 프룸은 재림교회 대표단의 확대 구성을 요구했다. 이미 대총회 목회 부장이며 『미니스트리』의 창립 편집자인 로이 앤더슨은 4윌 이래 회담에 참석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정식 대표로 항시 참여하여 그의 역량을 발휘해 줄 것을 요청 받게 되었다.

8월 25일, 회담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재림교회의 지도자들은 펜실베니아 주 도일스타운으로 이동하여, 월터 마틴과 조지 캐논과 더불어 도날드 그레이 반하우스 박사와 이틀에 걸친 회담을 가졌다. 반하우스는 유명한 복음주의 잡지인 『이터니티』지의 편집인이었는데, 반하우스 박사 부부의 바취데일 저택은 널찍하여 회담 장소로 훌륭했다. 바로 그 집에서 반하우스 박사는 그의 아들로부터 만일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가 이단이 아니고 진정한 그리스도교라면 왜 세상에 그 사실을 알리지 않느냐는 도전을 받았다.

그러나 아직 재림교회가 비정통적인 교리를 가르친다는 혐의가 해결되지 않고 남아 있었다. 그것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어떻게 해결해야만 할지, 바로 그것이 그들의 주된 관심사였다.

비판에 대한 반응

문제로 부상된 쟁점은 재림교회가 “(그리스도가 피조물이라는) 아리우스주의, 그리스도의 타락한 인성론, 불완전한 속죄론, (율법을 지킴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갈라디아주의와 극단적 분파주의”를 가르친다는 비판이었다.[3] 복음주의자들은 재림교회가 공식 신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문제의 근원이라고 지적했다. 어느 종파를 막론하고 판단의 기준이 될 만한 신조가 있어야 그것으로 어떤 한계와 범주를 정할 수 있는 것인데, 신조 문건이 없으니 어떻게 교리의 순수성을 지킬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었다.

재림교회 측의 답변은 이런 문제점들이 교단 주류의 문제가 아니므로 대총회가 조사를 해봐야 하겠다는 입장이었다. 이제 재림교회가 복음주의자들에 의해 제기된 그런 문제 분야와 거리를 두기 위해서는 우리 교회의 신자들 대다수가 그런 가르침을 믿지 않는다는 사실을 복음주의자들 앞에 증명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첫 번째 방안은 월터 마틴으로 하여금 미국의 동부에서 서부까지, 그리고 해외 선교지들을 찾아다니며 재림신앙의 현장을 목격할 수 있도록 여행 일정을 마련해 주자는 제안이었고, 두 번째 방안은 마틴의 질문에 대한 교단 측의 답변을 공식화하여 책으로 펴내되 온 세계 재림교회 지도자들의 신중한 검토를 받아서 출판하자는 제안이었다. 그래서 출판된 책이 바로 『교리에 대한 질문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가 답함』 (Seventh-day Adventist Answer Questions on Doctrine)이란 책인데, 이 책을 펴내기 위해 대총회는 당시의 대총회장 루우벤 피거(R. R. Figuhr)를 의장으로 하는 14인 특별 출판위를 구성했다. 위원으로 뽑힌 사람들은 올슨(A. V. Olson), 옥스(W. B. Ochs), 딕슨(L. K. Dickson), 루디(H. L. Rudy), 햄(A. L. Ham), 로비슨(J. I. Robison), 비치(W. R. Beach), 토레이(C. L. Torrey), 니콜(F. D. Nichol), 언루(T. E. Unruh), 앤더슨(R. A. Anderson), 프룸(L. E. Froom), 리드(W. E. Read) 였다. [4]

회담이 해를 넘기는 동안 재림교회 대표들의 노력은 믿음직한 결실을 맺는 것처럼 보였다. 재림교단과 복음주의자들의 공식 대화는 자연스레 끝나고, 1957년 연말 상기한 『교리에 대한 질문』은 리뷰 앤드 헤럴드사에 의해 출판되었다. 그리고 이에 준하는 월터 마틴의 저술도 시간이 지체되는 어려움을 누차 겪었으나 드디어 1960년 그의 저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의 진실』 (The Truth About Seventh-day Adventism)이 존더반에 의해 출판되었다. 이렇게 대사는 일단락되었지만 그 결과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는 미처 내다보지 못했던 분쟁의 불씨를 안은 채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고질병을 수십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앓고 있는 것이다.

간행물들의 수정

재림교회를 대표하는 형제들이 1955년 복음주의자들에게 우리의 “비정통적” 교리들이 “시정되고 있는 중”이라고 대답한 것은, 아마 순간의 실수로 교단이 모든 이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말한다는 것이 그런 말로 표현된 것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그 말에 깊은 배경이 있는 것 같은 심증이 있다. 그 당시 교단 내부에서는 이미 교회 전반이 믿어오고 있던 교리 중에 복음주의파 기독교계가 정통적으로 여기는 입장과 일치하지 않는 것들을 재림교인들의 생각으로부터 제거하려는 적극적 움직임이 일부 인사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는 풍문이 나돌고 있었는데, 그것은 상당한 근거가 있는 풍문이었다.

1946년 개정신판 『가정을 위한 성경 봉독』 (Bible Readings for the Home Circle)이 출판되었을 때 예리한 독자들은 거기서 한 가지 달라진 점을 지적할 수 있었다. 당시는 그것이 별로 크게 문제되지 않았으나 신구판을 함께 펴놓고 비교해 보면 “죄 없는 생애”란 장의 내용이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때까지 94년 동안이나 한결같이 지켜 온 교리 하나를 이 신판 『가정을 위한 성경 봉독』이 더 이상 반영하고 있지 않았던 것이다. 그리스도께서 취하신 인성은 인간이 창조되었을 때의 죄 없는 인성이 아니고 그가 구원하고자 한 죄인의 인성과 동일한 인성이었다는 재림교회의 통일적 견해를 조용하게 침묵시켜 버린 이 처사는 그후에 올 사태를 예언하는 무언의 전조였다.

그로부터 6년 후 그 새로운 사상의 첫 메아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1952년 7월호 『리뷰 앤드 헤럴드』가 10일과 17일 두 차례에 걸쳐 다음과 같이 그 생소한 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스도, 곧 ‘둘째 아담’은 그 인성 쪽으로는 ‘첫째 아담’과 같은 본성, 즉 죄로 더럽혀진 흔적이 전혀 없는 본성을 가지고 태어나셨다고 재림교회는 믿는다.”

재림교회에 전혀 생소한 이 기독론에 대한 돌발적인 주장은 그 전후 문장을 살펴볼 때 저자의 의도가 의심스러워 보였고 독자들을 혼동시키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특히 그 기사를 쓴 편집인의 의도가 담긴 결론 부분에서 우리는 이 새로운 주장의 근원이 무엇인지 엿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재림교회의 글 쓰는 이들과 연사들에게 여기서 한 마디 권고의 말을 해 두는 것이 좋겠다. . . .우리가 죄의 흔적이나 죄의 균(germ)에 대해 논할 때, 그것이 상징적 어휘란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우리의 비판자들은, 특히 칼뱅주의적 시각으로 성경을 보는 외부 사람들의 경우, ‘죗된 육신(sinful flesh)’이란 말을 읽을 때 재림교회 신학이 부여하지 않는 엉뚱한 의미를 첨가해서 풀이한다. 따라서 우리 교회의 몇 저자들이 해온 것처럼, 우리가 그리스도의 인성을 논하면서 ‘죗된 육신’이란 용어를 사용하면, 외부 사람들에게 오해의 여지를 제공하게 된다.”

아무튼 1952년경 그 당시에 비재림신자들, 특히 칼뱅주의자들의 비판 때문에 상당히 골치가 아팠던 모양이다. 그리고 이것은 어디까지나 추측에 불과한 말이지만, 1952년경에 이르러 문제의 “죗된 육신”이란 어휘를 그리스도의 인성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한 저자가 다른 사람도 아닌 엘렌 화잇이었다는 사실 마저 거의 잊혀지고 있었는지 모른다.

반하우스의 기사에 대한 반응

재림교회에 새로운 신학적 풍조를 불러일으키는데 개인적으로 기여한 최대의 공로자가 있다면 아마도 그것은 비재림신자인 도날드 그레이 반하우스(Donald Grey Barnhouse) 박사일 것이다. 그는 그의 아들의 도전을 받아들여 1956년 9월호 『이터니티』지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는 그리스도교인가?” 라는 폭탄적 기사를 발표했다. 그 기사 때문에  『이터니티』지는 당분간 구독자의 사분의 일을 상실하는 위기를 맞기까지 했으며, 복음주의 교계는 그 기사로 인해 한동안 시끄러운 소란을 겪었다. 재림교회가 이단이 아니라는 주장에 대한 교계의 반발이 그 주된 원인이었다. 그 기사는 재림교회를 칭찬하는 글이었으나, 어떤 부분은 재림교회의 교인들을 아연실색케 만드는 내용도 담고 있었다.

반하우스의 이 기사에는 회담 초기에 마틴이 재림교회 대표들에게 그들이 현재 주장하는 교리와 상반되는 교리를 가르치는 이들이 재림교회 안에 있다는 물적 증거를 제시했을 때, 그들이 대경실색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월터 마틴은 지금 회담이 진행되고 있는 이 빌딩에 부속된 서점에서 팔리고 있는 책들 중 재림교회가 출판한 한 목사의 책은 그들이 지금 주장하는 교리적 입장과 구체적으로 상반되는 교리를 주장하고 있음을 그들에게 지적했다. 그랬을 때 재림교회 지도자들은 문제의 책을 가져오게 하여 마틴의 말이 옳음을 확인한 후 이 잘못된 서적들을 수정하도록 즉시 그 사실을 대총회 간부들에게 보고하였다. 그와 동일한 절차가 그리스도께서 육신으로 계실 때의 본성에 대해서도 반복되었다. 간혹 전체 교회의 마음에 들지 않는 일부 저자들의 모순된 견해가 출판된 사례가 있기는 하나, 재림교단의 절대 다수는 그리스도께서 죄 없고, 거룩하고, 완전한 인성을 취하고 성육신 하였음을 항상 믿어 왔다고 재림교회 지도자들은 주장했다. 그리고 그들은 근본주의 기독교계 어디에나 광기(狂氣)있는 무책임한 자들이 섞여 있는 것처럼 자기네 중에도 그런 ‘광적인 소수 분파’ (lunatic fringe)들이 있다고 마틴에게 설명했다.” [5]

[역자 주] 이 소위 “광적인 소수 분파”라는 지극히 경멸적인 언사로 던져진 QOD 삼인방(프룸, 리드, 앤더슨)의 공격은, 그리스도가 인간의 죗된 육신을 취하여 죄 없는 삶을 이 세상에서 살았음을 믿었던 과거와 그 당시 재림교회 인사들의 명단을 우리가 고려해 볼 때, 지나치게 경솔하며 독단적인 발상이라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한 입장을 견지했던 “광적인 소수 분파”에 속한 저명한 재림교인 목사와 신학자 및 지도자들 명단 일부를 한번 살펴 보자: 프랜시스 니콜(Francis Nichol), 브랜슨(W.H. Branson), 레이먼드 코트렐(Ray Cottrell), 돈 뉴펠드(Don Neufeld), 와그너(E.J. Waggoner), 존스(A.T. Jones), 해스켈(S.N. Haskell), 프레스코트(W.W. Prescott), 유라이어 스미스(Uriah Smith), 윌콕스(M.C. Wilcox), 리저(G.W. Reaser), 톰프슨(G.B. Thompson), 커언(M.E. Kern), 스노우(C.M. Snow), 볼맨(C.P. Bollman), 미드 맥과이어(Meade Macguire), 헤인즈(C.B.Haynes), 에반스(I.H. Evans), 윌칵스(L.A. Wilcox), 윌리엄 워스(William Worth), 핵맨(E.F. Hackman), 대니얼스(A.G. Daniells), 크레스(D.H. Kress), 프레더릭 리(Frederick Lee), 올슨(A.V. Olson), 스티븐스(J.C. Stevens), 클리포드(F.G. Clifford), 벤저민 호프먼(Benjamin Hoffman), 루디(Henry L. Rudy) 등등은 물론 이러한 입장을 누누이 강조하였던 엘렌 화잇이 그 대표적인 “소수의 광적인” 인사들이 되겠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이러한 소위 “광적인 소수 분파”에 속한 입장을 당당히 견지하고 있는 지도자와 목회자 및 신학자들이 교단의 각처에 산재해 있는 바이다. (출처: 허버트 더글러스 저, 『A Fork in the Road: Questions on Doctrine, the Historical Adventist Divide of 1957』 p.19)

재림교회를 평한 반하우스의 글을 읽은 재림교인들 중에는 이를 심상치 않게 본 이들이 있었다. “재림교회가 지금 취하는 교리적 입장 중 어떤 것은 우리가 볼 때 새로운 입장”이라고 평한 반하우스의 판단은 그들이 보았을 때도 정확한 판단이었기 때문이다. 교단이 성급하게 새로운 교리적 입장을 취한 것을 모두가 좋게 본 것은 아니었다. 더구나 그 기사에서 “건전한 정신을 가진 재림교회 지도자들의 대다수는 교단의 책임 있는 지도 체제와 상이한 견해를 가진 자들에 대해 제동을 걸기로 결심했다.” 는 부분을 읽은 몇몇 사람들은 더욱 크게 염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6]

또한 그의 기사에서 반하우스 박사는 1844년에 시작된 조사심판과 그리스도의 지성소 봉사 교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신랄하게 비판을 가했다: “그것은 체면 유지를 위해 꾸며진 지극히 인간적인 발상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성경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일부 재림교회 신자들이 그 개념을 터무니없이 문자주의적 극단으로 끌고 갔다. 마틴과 나는 재림교회 지도자들이 그런 모든 극단주의를 배격한다고 단호히 말하는 것을 들었다. 그들은 이것을 결코 오해할 수 없는 분명한 말로 밝히 말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예수는 속죄 사업을 갈바리에서 마친 것이 아니라 1844년 이후 제 2의 봉사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는 초기의 일부 교사들의 가르침을 믿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들은 그 교리 역시 전적으로 배격했다.”

그리고 그의 글은 이렇게 끝을 맺었다: “우리가 개인적으로 확신하기는 그런 [조사심판 같은] 이상한 교리를 뒷받침하는 성구는 엇비슷한 것도 찾을 수 없을 뿐더러, 그 교리를 정립하려는 여하한 노력도 맥빠지고, 싱겁고, 무익한 것이라 믿는다!” [7]

『미니스트리』 기사

회담 결과에 대한 이런 공식 발표가 있은 후 느리던 변화의 속도는 급진적으로 가속되기 시작했다. 『미니스트리』 1956년 9월호와 1957년 2월호 및 4월호의 지면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교리적 입장들이 공표됨을 발견하게 된다. 그 처음 기사는 그리스도가 성육신 하실 때 “아담이 타락하기 이전의 죄 없는 본성을 취했다” 고 대담하게 선언했으며, 둘째 기사는 “십자가 희생은 인간의 죄를 위해 치러진 완벽하며 완전하고 최종적인 것이었다”고 말함으로써 재림교회가 이전에 공식적으로 전혀 주장한 일이 없는 교리적 입장을 최초로 선언하였다. [8]

하지만 난처한 것은 그 기사가 처음에는 [완전하고 최종적이라고 주장한]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희생적 돌아가심”을 언급하고 나서 그 다음엔 “원형의 대속죄일에 하늘 성소에서 진행되는 대제사장의 봉사”를 말한 후, 결론적으로 그 두 국면은 “상호 불가분의 것이며 그 어느 하나만 가지고 완전하다 할 수 없으므로 상호보완적인 면이다”라고 주장한 점이다. 아무래도 글쓴이가 이러한 주장에 담긴 자가당착적인 모순을 미처 깨닫지는 못했던 것 같다. [9]

그리고 그 역사적인 『미니스트리』 기사의 세 번째 글에서는 “성육신하신 하나님께서 인간 역사에 그 모습을 드러내시고 인류와 하나가 되셨을 때, 그분은 에덴에서 아담이 창조되었을 때 소유했던 죄 없는 본성(sinlessness of the nature)을 소유했던 것으로 우리는 이해한다”고 선언했다.

밀리안 앤드리어슨

이러한 일련의 사태 진전은 존경받는 재림교회의 중진 사역자였던 고령의 앤드리어슨(M. L. Andreasen) 목사에게 대단한 염려를 끼쳤다. 오랫동안 교회의 행정자이며 교육자이자 또 저술인으로서 활약했으며 성소 교리의 권위자로 널리 알려진 학자였던 그는, 이미 1957년 2월 15일부터 경종의 소리를 발하지 않을 수 없었다.[10] 워싱턴 D.C.에 소재한 교단 본부의 모 인사에게 보낸 개인적 서신으로 시작된 앤드리어슨의 항의는 결국 북미주 전역은 물론 세계 선교지의 일부에까지 그 소리가 파급되었다. [11]

그의 관심사는 본래 『미니스트리』지와 『교리에 대한 질문』에 발표된 교리적 발언에 대한 것이었으나, 곧 이어서 앤드리어슨 목사는 그보다 더 심각하게 그의 마음을 괴롭히는 문제를 포착하게 되었다. 1957년 초여름, 엘렌 화잇 유산 관리 위원회의 5월달 회의록 한 부가 그의 손에 들어왔는데, 그것은 물론 그런 회의에 부여되는 상식적인 비밀 보장 원칙에 어긋나는 파격적 경우였다. 따라서 앤드리어슨은 그것을 하나님의 섭리로 보았다.

그 회의록에서 그는 5월 1일, 예언의 신의 어떤 부분의 뜻을 좀 더 명백하게 해설하기 위해 각주를 삽입하자는 제안을 가지고 어떤 두 사람이 관리 위원회를 찾아왔던 일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앤드리어슨은 그 두 사람을 단순히 “R”과 “A”라고만 밝혔는데, 리드와 앤더슨을 지칭한 것으로 추측된다). 두말할 나위 없이 그 두 사람과 그들이 속한 그룹은 “그리스도의 속죄사업이 지금 하늘 성소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언급한 엘렌 화잇의 글 때문에 적지 않은 불편을 느끼고 있었음이 분명했다. [12]

그런 염려로 그들은 “몇몇 엘렌 화잇 저서에다 각주나 해설적 부록을 첨가하여, 그리스도의 속죄 사업이 지닌 여러 단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화잇 부인 자신의 말을 대체적으로 사용하여 해설하도록 만들어 줄 것”을 유산 관리 위원회에 제안했다. [13]

“이 문제를 유산관리위원들과 의논하려고 찾아왔던 형제들의 생각으로는 머지않은 장래에 곧 이 이슈가 현저히 표면화될 것 같으므로, 그런 해설을 미리 준비했다가 앞으로 엘렌 화잇의 글을 출판할 때는 그것을 포함시켜 출판하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했던 것이다.

이 제안에 대한 최종 결정은 한동안 연기되었지만, 결국 그런 계획은 현명하지 못하다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 그러는 동안 앤드리어슨은 사역자들의 관심을 교단 본부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태로 집중시켰다. 따라서 그는 교단과 논쟁을 벌이는 입장에 서게 되었고, 드디어 이 [복음주의파와의 대화와 연관된] 문제를 그가 계속 전하고 확대하게 되면 “당신과 교회와의 관계에 대한 이슈가 분명히 제기될 것”이라는 경고가 담긴 1957년 12월 15일 자로 된 편지를 대총회로부터 받기까지 하였다. [14]

그로부터 1개월 반 후, 그동안 그가 공공연하게 제기했던 이의를 전하려면 대총회에 청문회를 요청하여 그것들을 논하라는 요구가 앤드리어슨에게 전달되었다. 그것은 그에게 있어서 전혀 새로운 착상이었다. 왜냐하면, 그동안 여러 차례 편지로 대화를 진행하던 중 대총회 대표로부터 그것은 이미 종결된 문제란 말을 누차 들었던 지라, 앤드리어슨은 그런 청문회를 요청하는 것이 자기의 소관이라고 결코 생각한 적이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 필요한 것이 청문회라면, 무슨 일이 있어도 그 청문회를 요구하리라 그는 결심했다.

사실 청문회라면 그는 기꺼이 나갈 수 있었다. 단지 그가 원했던 것은 “청문회를 공개적으로 진행하던가, 아니면 속기사에 의해 속기록(速記錄)이 작성되고 그에게도 그 사본 1부가 배부되는 것이었다.”

그러한 앤드리어슨의 요청에 대해 대총회 지도자들은 “그 일엔 녹음을 하는 편이 현실적으로 가장 좋겠다”고 답장을 했다. 그러나 그에게 사본 1부를 주는 문제에 대하여는 전혀 아무 언질이 없었기에 앤드리어슨은 그해 2월 21일 자로 다시 편지를 보내어 그의 요청에 대한 구체적 확답을 구했다. 하지만 대총회 지도자들의 회신은 모호했다: “대총회 형제들은 모든 회의 진행 일체를 녹음할 생각입니다. 그 녹음이 모든 발언과 결정 내용에 대한 충분한 기록이 될 터인데, 이렇게 완전한 기록을 남기는데 대해 우리는 당신이 동의할 것으로 믿습니다.”

언뜻 보기에 그 회신은 그의 요청을 수락하여 녹음 테이프의 사본 1부가 그에게 배부된다는 말 같았으나 구체적 약속은 기피한 글이었다. 다시 그 점을 꼬집어 확인 질문하는 것이 무례한 일 같아서 잠시 주저했지만, 앤드리어슨은 다른 도리가 없었다. 그 조건은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그는 그 답을 분명히 알아야 했다. 그래서 3월 12일 자 편지로 그는 다시 한번 더 요청을 하였다: “나는 아직도 녹음이 될 뿐 아니라 내가 그 사본을 하나 받는다는 결정적 확약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거기에 대한 회답이 왔다: “이 문제를 간부들과 협의한 결과 우리는 모든 참가자에게 공정하게 하기 위해 서기를 한 사람 그 중에서 임명하고 그로 하여금 우리가 얻은 결론을 기록하게 한 후 그것을 전체 그룹에 제시하여 승인을 받을 것이며, 그 후 당신에게 그 기록을 한 부 받을 것입니다. 우리는 앤드리어슨 형제가 이 제안에 동의할 것으로 믿습니다.”

두말할 필요도 없이 앤드리어슨은 그런 제안을 수락할 수 없었다. “거기엔 속기사도 없고, 녹음기도 없고, 올바른 회의록도 물론 없을 것이다. 그러면서 그들 중 한 사람이 논의된 결론만 기록할 것이다. 거기에 내가 동의할 것으로 믿는다고? 물론 나는 동의할 수 없었다. 그것은 완전한 배신이었다. 마치 라헬 대신 레아를 밀어 넣은 것과 같은 속임수였다.” [15]

이런 교착 상태는 계속되었다. 워싱턴의 형제들은 앤드리어슨이 자신의 우려를 일반 신자들에게 널리 알린 것을 완전한 이탈 행위로 간주했고, 그럴수록 앤드리어슨은 자기가 사랑하는 교회의 지도자들이 잘못되어 있고, 무엇인가 심각하게 잘못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확신했다. 결국 그는 하는 수 없이 지금 우리에게 알려진 『교회들에게 보내는 편지』 (Letters to the Churches)란 이름의 책에 수록된 여섯 개의 편지를 하나 하나 출판하여 배포하기 시작했다.

이런 중 얼마되지 않아 고령인 앤드리어슨의 건강은 쇠약해지기 시작했다. 전과 같이 왕성한 활동을 지속할 수 없게 되자 그의 영향력도 차츰 힘을 잃기 시작했고 온갖 엉뚱한 소문이 나돌기 시작했다. 이러한 헛소문을 바로 잡으려고 그는 1959년 6월 한 개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렇게 썼다: “확실히 말씀드리지만, 내 건강은 아직 양호한 편입니다. 나는 소문처럼 정신병자도 아니고, 기억상실증에 걸리지도 않았고, 죽지도 않았습니다.” 그리고 교리적 문제에 관한 자신의 이의에 대하여는 “아니오, 나는 절대로 철회한 일이 없습니다” 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런 편지도 소용없었다. 그로부터 8개월이 지난 후에도 그가 결국 자기의 주장을 철회했다는 풍문은 파다하게 퍼지고 있었다. [16]

1961년 4월 6일, 교단 대표들이 춘계 회의로 모인 자리에서 앤드리어슨은 그가 취한 행동으로 인해 이들로부터 신랄한 규탄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때 그는 그렇게도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목사 신임서를 박탈당했다. 이러한 결정을 내린 대총회 지도자들은 그 이유를 다음의 두 가지로 밝혔다:

1) 필설로 교회 안에 불화와 혼란을 일으켰다.

2) 대총회에 자기의 불만을 발표함에 있어 오직 자기의 유별난 조건만을 고집함으로써, 형제들의 호소에 호의적으로 반응하기를 거부했다. [17]

자신의 목사 신임서 박탈이 결정된 후에서나 그 기정사실을 통보받은 앤드리어슨은 틀림없이 그것을 자기 평생에 있어 가장 슬픈 일로 간주했음이 분명하다. 그 후 얼마 살지 못하고 그가 영면(永眠)한 것은 아마 하나님의 자비 때문이었을 것이다. 1962년 2월 19일, 그는 그의 마지막 숨을 내쉬었다. 그리고 그로부터 열흘 후인 3월 1일, 대총회 행정위원회는 그의 신임서를 박탈했던 종전의 조치를 철회하고 그의 이름을 다시 교회 연감에 실어 주었다. [18]

[역자 주] 1976년판 SDA 백과사전에 소개된 앤드리어슨의 약력은 다음과 같다: ANDREASEN, MILIAN LAURITZ (1876-1962), 덴마크 태생의 행정자, 교육자, 저자; 1920년 네브라스카 대학 BA 학위; 1922년 네브라스카 대학 MA 학위; 1902년 안수 받은 후 다양한 행정직을 담당했다. 1909-1910 대뉴욕 합회장, 1910-1918 허친슨 세미나리 학장, 1918-1922 애틀랜틱 유니언 대학 학장, 1922-1924 워싱턴 선교 대학 학장, 1924-1931 미네소타 합회장, 1931-1938 유니언 대학(네브라스카) 학장, 1941-1950 대총회 순회 서기를 역임했으며, 1938년부터 1950년까지 워싱턴 D.C. 소재 SDA 신학 대학원(현재 앤드루스대학교 안으로 옮김)에서 조직신학 강의를 담당했다. 앤드리어슨은 수많은 기사와 최소한 13권의 저서를 남겼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The Sanctuary Service, The Epistle to the Hebrews, A Faith to Live By, What Can a Man Believe?, Saints and Sinners이다. 그는 특별히 성소 교리를 연구하여 그 분야의 권위자로 인정을 받았다. (출처: Encyclopedia of Seventh-day Adventists, p. 43)   

오래 전, 미주 교회지남에도 어느 목회자가 앤드리어슨에 관하여 터무니없는 소문에 근거하여 지나치게 왜곡적인 기사를 기고한 적이 있음을 기억한다. 마침 그 당시 이 앤드리어슨 목사에 대한 여러 서적들을 읽고 있던 역자는 역사를 왜곡하는 이러한 기사를 통해 한인 목회자들이 너무 일방적으로 역사적인 사실들을 객관적으로 조사해 보지도 않고 부주의하게 글을 써서 평신도들을 기만하는 행위를 함을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재림교회내의 1960-70년대 사건들

월터 마틴이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와 가진 직접적인 접촉은 항구적으로 계속된 것은 아니다. 1960년 그의 저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의 진실』 (The Truth About Seventh-day Adventism)이 출판된 이후 거의 20년 동안은 침묵의 연속이었다. 단지 1965년에 그가 『이단의 왕국』 (The Kingdom of the Cults)을 출판했는데, 이 저서에서 마틴은 재림교회를 이단이 아니라 많은 오해로 심한 피해를 받고 있는 기독교 종파라고 소개했다. 그는 재림교회가 신학적으로 미숙한 까닭에, 자기 보기에 이상한 개념과 가르침에 집착하고 있었으나, 교단 지도자들이 중요한 복음주의적 기본 신학에 일치하는 교리를 믿는다고 증언했으므로 그들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형제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의 기본적 관심사는 월터 마틴과 재림교회의 직접적 교류의 전말이다. 하지만 단순히 이러한 접촉의 주된 일면에만 관심을 집중하면서, 그 후의 20여년에 걸쳐 일어난 사건들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비현실적인 일이다. 왜냐하면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교회에 일어난 풍파는 그에 선재(先在)한 월터 마틴과의 교류가 끼친 영향 없이는 생각도 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우리는 월터 마틴이 직접 개입하지는 않았으나 그와의 접촉이 끼친 영향에 힘입어 재림교회에 몰아닥쳤던 몇 차례 거센 풍파를 되돌아보기로 한다. [19]

로버트 브린스미드

1960년대는 한동안 이른바 성소 각성회(Sanctuary Awakening Fellowship) 운동으로 명명되던 “브린스미드 소동”이 일어나 교회가 무척 시끄러운 시기였다. 성도들이 하나님 앞에 중보자 없이 설 준비에 대해 미약하고 피상적인 설명에 항상 불만을 느껴오던 로버트 브린스미드는 “원죄” 때문에(원죄 문제는 후에 다시 다룸) 지금은 품성의 완성을 이룰 수 없다는 입장을 펼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완전은 살아서 승천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또한 주장했다. 브린스미드는 이 완전함의 결핍이 그리스도의 대제사장 봉사가 끝나는 속죄 사업의 최종 단계에 가서 하나님의 은혜로 충족되어질 것이라고 믿었다. 

이 운동은 많은 교인들을 유인한 반면에, 또한 많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혼동을 빚어냈다. 그 혼동의 주 원인은 브린스미드의 가르침을 반대하며 폄론하는데 열중한 사람들의 입장들 그 자체에 존재하는 서로 상반되며 모순되는 주장들 때문이다. 한편에서는 브린스미드가 품성의 완성을 너무 늦게까지 미룬다고 비난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그가 품성의 완성이 너무 일찍 성취됨을 가르친다고 비방했다. 품성 완성을 최후의 속죄 단계까지 미루는 자는 구원의 희망이 없다는 주장이 나오는가 하면, 최후의 속죄가 있건 없건 우리 몸이 홀연히 변해 승천하기 전 이 세상에 사는 동안에는 품성의 완성이란 있을 수 없다는 주장이 그것과 맞섰다. 이렇게 서로 엇갈린 주장을 하는 교회가 어떻게 존속할 것인지 심지어 외부 사람들마저 염려할 정도였다. [20]

아무튼 일단 이런 한바탕의 소동이 지나가자, 교회의 공식 입장은 대체로 재림 이전에는 신자들이 죄 없는 상태에 도달할 수 없다는 쪽으로 낙착된 것처럼 보였다. 이 주장은 1960년대에 에드워드 헤펜스톨(Edward Happenstall)에 의해 최초로 제기된 후 레이먼드 코트렐(Raymond Cottrell), 해리 로우(Harry Lowe), 빅크(E. W. Vick), 내이던(L. C. Naden), 노발 피즈(Norval F. Pease), 한스 라론델(Hans K. LaRondelle), 테일러 번치(Taylor G. Bunch), 랄프 와츠(Ralph S. Watts), 그리고 데스몬드 포드(Desmond Ford)와 같은 인사들의 공통적인 주장이 되었다. [21]

하지만 그 당시의 이 사람들이 불순종을 옹호하였고, 성소 각성 그룹은 순종을 옹호했다고 우리가 말한다면, 그것은 부당하며 지나치게 단순한 해석일 것이다. 실은 모두가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가운데 [월터 마틴과 같은 복음주의파 대표들과의 대화를 계기로] 재림교회의 신앙 안으로 침투되어 있던 하나의 낯선 신학 사조와 씨름하고 있었을 뿐이다. 로버트 브린스미드에 의해 최초로 교회의 관심사로 등장했고, 나중에는 성소 각성 운동의 반대자들에 의해 채택되어진 원죄론의 신학적 개념이 드디어 그 위세를 발휘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아마도 이 시대가 산출한 최대의 아이러니는 대총회와 브린스미드 양측 모두가 그들이 1960년대 초에 견지했던 완전에 대한 입장을 포기했다는 사실일 것이다(대총회의 교리변증 문서 위원회와 당시의 대표적 저자들은 은혜의 기간이 끝나기 전에 품성이 완전하게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브린스미드는 최후의 속죄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완전해진다고 주장했었다). 원죄론에 입각한 완전 불가론은 성소 각성파를 무찌르기 위해 헤펜스톨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는데, 그 설득력이 너무나 컸던 까닭에 브린스미드와 그를 따르던 대부분의 사람들은 1970년도 초기에 항복하고 말았다.

원죄론의 개념을 그대로 간직한 채 교단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기 위해 재림교회를 떠난 브린스미드는 새로 발견한 그의 이론을 그 논리적 귀결로 끌고 갔다. 즉 그는 죄에 대한 승리와 마지막 세대의 품성 완성은 물론 『교리에 대한 질문』의 입장을 따라 그리스도의 타락한 인성론까지 배격하게 되었다.[22] 그러고 나서 몇 해 더 지난 후에는 1950년대의 주된 관심사였던 재림교회 고유의 속죄와 성소 교리 마저도 역시 배격하고 말았다.  또 1981년에 이르러서는 안식일 준수를 향해 브린스미드는 비판의 화살을 쏘아 대고 있었다. [23]

그러나 이렇게 브린스미드가 재림교회의 지평선 위로 광채를 번뜩이며 지나가던 그 시기에 남의 이목을 별로 끌지 않고 조용히 일을 진행한 사람들이 있었다. 이미 지적한 대로 1960년대 후기에 이르러서 재림교회의 지배적 견해가 “승천 전 완전은 없다”는 입장 쪽으로 정착되어 버린 것은 바로 그들 때문이었다. 이러한 견해의 논리적 바탕은 물론 『교리에 대한 질문』에 나타나 있는 “타락 이전의” 그리스도 인성론이었다. 거기에다 전통적 복음 주의파들이 주장하는 이른바 “[십자가에서] 완성된 속죄론”과 결부되면서, 이 개념은 우리 교회의 신학적 풍토를 재조정하였고 그것을 지켜보던 외부 관측자들의 마음을 아주 흡족하게 해주었다.

『숙명적인 운동』

만일 그 당시 이런 새로운 신학적 개념의 도입을 막후에서 추진하던 인사들이 일련의 성급한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면, 브린스미드와의 투쟁 후 발판을 구축하기 시작한 그 미심쩍은 가르침들이 교회 안에 만연되어 기정 사실화 될 뻔하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태는 달리 진전되었다. 『교리에 대한 질문』에 소개된 입장을 굳게 다지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프룸은 1971년에 『숙명적인 운동』 (Movement of Destiny)이란 책을 출판하였다. 그러나 그 책은 『교리에 대한 질문』보다 어떤 면에서 더 큰 우려와 논란의 대상이 되고 말았는데, 간단히 말해 그 책의 각 장들은 일찍이 재림교회의 출판소를 통해 소개된 서적들 중 가장 부실하며 부정직한 “연구”로 취급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역자 주] 이 『숙명적인 운동』은 한국에서 「운명을 결정하는 대운동」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바 있다.

가장 두드러진 예를 들자면 그 책 497쪽에 실린 내용이다. “타락 이전의 아담의 인성을 취하심”이란 제하에 프룸 박사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19개의 진술을 나열했는데, 이 진술문들이 하나같이 다 엘렌 화잇의 글에서 한 두가지를 무작위로 발췌하여 요리한 것들이었다. 그 중 어느 하나도 원문이 프룸의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을뿐더러, 도리어 어떤 것들은 원문의 전후 문맥을 고려했을 때 프룸의 주장과는 정반대의 입장을 밝히고 있었다.

그 19개의 진술 중 6번, 7번, 8번의 글은 엘렌 화잇이 쓴 하나의 글에서 발췌한 것인데, 그 원문은 『가려뽑은 기별』 1권, 252-256쪽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프룸이 무작위로 발췌하여 제시하였던 인용문들의 원문은 사실상 “타락한 상태에 있는 인성을 당신 스스로 취하셨으나(In taking upon Himself man’s nature in its fallen condition). . .” 로 되어 있음을 발견하면서 우리는 아연실색해지지 않을 수 없다.[24] 프룸이 어떻게 이런 것들을 증거라고 하며 “타락 이전의 인성을 취하심”이란 제목 아래 제시할 수 있었는지 문제의 성격을 아는 사람들에게는 모든 상상을 초월하는 일이었다.

토론의 재기(再起)

아마 교회 안에 잠자던 저항의 소리가 활기를 띄우게 된 것은 이 『숙명적인 운동』의 출간 때문이었을 것이다. 어떻든 1970년대에 와서는 이 그리스도의 인성 문제에 대한 괄목할만한 변화가 있었는데,  그 변화를 주도한 것은 『리뷰 앤드 헤럴드』지의 두 편집인이었다. [25] 먼저 토마스 데이비스(Thomas A. Davis)가 『로마서 강해』 (Romans for the Everyday Man)로 그 문제를 다루기 시작했다. 그는 로마서 8장 3절 “하나님께서 죄 때문에 자신의 아들을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보내”를 해설하면서, “아담의 모든 자녀들과 마찬가지로 그분[그리스도]도 위대한 유전법칙이 작용한 결과를 받으셨다.” 는 시대의 소망 48쪽에 있는 엘렌 화잇의 분명한 진술을 꾸밈없이 원문 그대로 인용하여 자기의 생각을 표하였다. [26]

그 다음으로 들려진 것은 허버트 더글러스(Herbert E. Douglass)의 목소리였다. 『리뷰』지의 논설에서, 그는 “그리스도는 인류를 위해, 사람이 구할 수 있는 동일한 능력을 가지고, 사람이 저항해야 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사단의 유혹을 저항하셨다.” 고 역설했다. [27]

1971년 말부터 1972년 초에 이르는 3주 동안 이 주제를 힘 있게 제시한 더글러스는 횟수를 거듭할수록 더욱 분명하고 더욱 설득력 있게, 그리고 매번 더 직설적으로 더 많은 예언의 신 인용문을 제시했다. 이렇게 더글러스는 그후 3년을 계속하며 크리스마스 철이 다가올 때마다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진리를 강조했다. 후에 “무슨 동기로 그렇게 하였는가?”라고 사람들이 그에게 질문했을 때 그는 “분명히 나의 기사는 이 그리스도의 인성에 관한 진리가 인쇄물에 실리는 것을 다시는 보지 못하리라 생각했던 많은 사람들의 연대를 재집결시킨 깃발이 된 것이 사실이다.  … 나는 단순히 우리 교회의 역사에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을 뿐 아니라 오늘도 내가 날마다 사귀는 많은 대총회 직원들의 생애와 뇌리 속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한 견해를 뜨겁게 성원하고자 했을 뿐이다” 라고 대답했다. [28]

그리스도의 인성 문제와 품성의 완성 문제는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간단하다. 만일 그리스도께서 타락한 인성을 쓰고 오셔서, 인간이 누릴 수 없는 어떠한 특혜도 누린 적이 없다면, 거룩하게 살라는 성경의 호소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논리적으로 타당하다. 그러나 만일 그와 반대로 예수께서 타락하지 않은 인성을 받아 특혜를 누렸다면, 인간이 예수님처럼 죄를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전적으로 불합리하고 불가능한 기대일 뿐이기에 그러하다. 1970년대 초기 그리스도의 인성 문제가 다시금 관심의 초점으로 등장했을 때, 성화 문제와 품성의 완성 문제가 동시에 거론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따라서 『리뷰 앤드 헤럴드』지의 편집인들은 이 문제를 1974년 5월 16일 호에서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라는 주제의 특집으로 다루었다.

그 당시 멀빈 멕스웰(C. Mervyn Maxwell), 돈 뉴펠드(Don Neufeld), 조지 밴더만(George Vandeman), 허버트 더글러스(Herbert Douglass) 및 케네스 우드(Kenneth Wood)는 한 마음으로 뭉쳐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는 궁극적으로 이생에서 죄에 대한 승리를 의미한다는 논단 위에 굳게 섰다. 그러나 독자가 쉽게 예상할 수 있듯이 다른 편에는 그런 견해가 발표되는 것에 아연실색하는 이들이 있었다. 특히 『교리에 대한 질문』과 『숙명적인 운동』을 지지했던 사람들은 1970년대 초기 『리뷰』지를 통해 강조된 가르침과 그 두 책의 가르침을 융화시키려는 시도로 상당히 곤란한 입장에 처해지게 되었다. 이때 역시 하나의 중대한 신학적 지각 변동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전반적으로 잠잠하고 대체로 평화로웠다. 하지만 그 상태는 오래 가지 못했다.

데스몬드 포드

1975년 질리언 포드(Gillian Ford) 여사는 “그리스도의 인성에 함축된 구원론적 의미”란 논문을 발표했다. 이것은 그녀의 이름으로 발표되었지만 그 논문에 담긴 견해가 그 당시 호주 애번데일 대학의 저명한 교수인 남편 데스몬드 포드의 주장과 동일하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거기서 저자는 세 가지 주요 이슈를 다루며, 거기에 대해 각각 입장을 밝혔다. 첫째, 그리스도의 타락한 인성론을 완전히 배격했다. 둘째,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는 칭의가 그 전부라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성화는 우리의 구원과 전혀 상관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셋째로, 이생에서의 품성 완전을 논하는 것은 철저한 이설(異說)이라고 단정하였다. 그리하여, 최소한 이 논문은 곧 이 문제에 대한 쟁점이 표면화될 것을 분명히 하였다.

1976년 2월 포드 박사의 입장은 호주 교회의 지도자들이 많이 참석한 대규모 총회에서 검토를 받았다. 먼저 켄트(J. W. Kent)와 바샴(F. A. Basham)이 일어나 포드의 견해는 교회의 가르침과 조화를 이룰 수 없으며 정면으로 충돌하는 것이란 우려를 표명했다. 그런 문책이 포드에게는 당연한 것으로 들리는 모양이었다. 아무튼 이 총회는 결론 없이 끝났다. 그러나 그들은 이 문제를 다시 토론하기 위해 캘리포니아의 팜데일에서 그해 4월 회합을 가지기로 하고 날짜를 잡았다. 팜데일 회의에서는 문제의 성격을 분명히 규명하기 위해 성명서를 만들었으나 실제로 명백히 밝혀진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드 박사는 자기 나라로 돌아가서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에는 사법적 칭의, 즉 하나님께서 우리를 용서하신 후 죄없다고 선언하는 이외에 아무것도 포함된 것이 없다는 자기 주장을 성명서가 지지해 준 것은 “쾌거”였다고 주장했다.

물론 다른 사람들은 그 성명서를 달리 보았다. 『리뷰 앤드 헤럴드』지의 편집인 케네스 우드와 대총회장 로버트 피어슨 두 사람은 『리뷰 앤드 헤럴드』 지면을 통해 교인들에게 팜데일 회의의 전말을 보고했다. 실제로 성명서의 전문이 발표되었을 때, 그 성명서에는 처음에 포드가 호주 교인들에게 잘못 전달했던 것과 같은 분명한 지지 내용이 없었다. 그래서 그 성명서는 이미 존재하는 혼란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킨 결과를 가져왔다.

그리스도의 인성 문제에 대해서도 팜데일 회의는 아무것도 해결한 것이 없었다. 『리뷰』지에 발표된 보고에 의하면, 그 회의의 성명서는 타락 전 인성론과 타락 후 인성론을 차례로 설명한 후 “그리스도인이 이 두 이론 중 어느 것을 믿든지, 그 중심 사상은 그리스도께서 만인의 구주 되심과, 그가 인간의 육신을 쓰고 사실 때 이루신 승리의 생애를 통해 그분이 하나님과 인간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 고리가 되셨다는 진리임을 우리는 믿는다”는 말로 결론을 내리고 있었다. [29]

그러므로 이 문제에 대해서는 무엇을 믿든지 상관이 없다는 여운을 분명히 남기고 말았다. 그래서 신자들은 두 가지 배타적이고 상반되어 전혀 다른 결론을 유추하는 견해들 중 어느 것이나 마음에 드는 것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믿든지 그것과는 상관없이 재림교인으로 간주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당시는 이 점을 꿰뚫어 본 사람이 많지 않았다). 물론 언제든지 사람은 영적인 문제에 있어서 스스로 양심의 자유에 따라 믿는바를 선택하게 마련이지만, 이 주제에 관하여 재림신앙이 역사적으로 취했던 입장, 특히 예언의 신에 나타난 입장이 제대로 이해되지 못하면서 소홀히 다루어진 것은 정말 유감스러운 일이다. 만일 랄프 라슨(Ralph Larson) 박사의 총망라된 재림 신앙 기독론 연구서인 『말씀이 육신이 되어』 (The Word Was Made Flesh)가 한 10년만 더 일찍 출간되었더라면, 가장 필요한 시기에 적절한 힘이 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부질없는 아쉬움이 있을 뿐이다.

[역자 주] 그리스도의 인성이 “타락 전 아담의 인성”이라는 견해가 이렇게 성경 및 예언의 신에 기초한 구체적인 반증에 직면하면서, 그러한 견해가 점점 신빙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교리에 대한 질문』과 『숙명적인 운동』의 입장을 지지하던 사람들이 그 후에 자신들의 입장을 조금 수정하여, 소위 “복합적 인성”, 즉 예수님께서는 우리처럼 타락하여 연약해진 육체를 취하고 오셨지만, 그와 반면에 우리와는 달리 완전하고 흠없는 마음을 가지셨다는 입장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조금 변모된 입장도 우리가 곰곰히 분석해 보면, 그것이 실상은 “타락 전 아담의 인성”의 입장과 하등 차이가 없음을 파악할 수 있다. 왜냐하면 리로이 프룸 등이 “타락 전 인성” 입장을 주장했을 때, 그들이 예수님께서 타락하기 전 아담의 완전하고 흠없는 마음뿐만 아니라 그의 완전하고 흠 없는 육체도 지니고 오셨다고 결코 생각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들이 예수님의 “타락전 인성”을 언급했을 때는, 그 용어를 언제나 예수님의 “마음”에만 적용하고 있었다. 요즈음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복합적 인성” 입장의 기만성과 문제점이 바로 여기에 있는 바이다. 재림신앙과 융화될 수 없는 취약한 칼뱅주의적 신학 개념을 포장과 이름만 바꾸어 다시 제시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랄프 라슨 박사의 『말씀이 육신이 되어』는 아직도 우리말로 번역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로-아프리카 지회의 성서 연구소 회장이었으며 세계의 여러 재림교회 대학들에서 신학교수로 역임한 바 있던, 주커(Jean R. Zurcher) 박사의 저서인 『Touched with Our Feelings: A Historical Survey of Adventist Thought on the Human Nature of Christ』가 2006년 한글로 번역되어 『영원한 본체를 붙잡다』라는 제목으로 시조사에 의해 출간된 적이 있다. 이 저서는 재림교회 기독론 역사를 총망라하며 분석하여 리뷰 앤드 헤럴드 출판소의 편집검증을 거쳐 출간된 책으로써, 그리스도의 “타락한 인성론(post-fall nature)” 입장을 재림신앙의 고유한 기독론으로 제시하는 역사적 비평의 정확성으로 인해, 평소 그러한 입장을 견지한 재림교인들과 목회자들을 향해 독설을 거침없이 품어왔으며, 이 면에 대한 재림교회의 역사를 지나치게 왜곡해 왔던 로이 애덤스 조차도 차마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였던 저서이다.

안교 교과 내용에 대한 반발

1977년 제 2기(4월~6월)에는 허버트 더글러스가 쓴 안식일 학교 교과책이 등장했다. 총제목을 “예수, 모델 인간”이라 명명한 이 과정책은 그리스도의 인성, 그리스도는 죄를 이긴 우리의 모본, 마지막 세대의 품성 완성 등 일련의 주제를 다루었다. 간혹 읽는 잡지라면 그냥 넘기겠으나, 13주 동안이나 계속되는 매일의 성경 공부는 그 교리를 반대하는 사람들에겐 삼키기 어려운 쓴 약이었다. 그래서 과정 책을 배척하는 거센 바람이 일어났다. 그 중 어떤 항의자는 “이 교리를 반대하는 목사들이 교회 전반에 가득히 깔려 있다. 만일 워싱턴의 지도자들이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반대 운동은 더욱 거세게 확대될 것”이라고 항의 투서를 쓰기도 했다. [30]

제프리 팩스

그해 8월에는 또 하나의 새로운 책이 논쟁의 무대로 입장하여 바람을 일으켰다. 이번에는 이상하게도 이 책의 저자는 재림교회의 운명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노라고 공언하는 제프리 팩스턴(Geoffrey J. Paxton)이란 영국 성공회의 목사였다. 그가 저술한 『재림교회의 흔들림』 (The Shaking of Adventism)이란 책에서, 팩스턴은 재림교회는 종교 개혁의 계승자라는 우리의 주장에 호의적 평가를 한다고 주장했으나 불행히도 그는 거의 전 인류가 신봉하는 오류를 우상처럼 떠받드는 사람이었다. 그는 종교 개혁을 하나의 지속적인 운동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만사를 이미 정착된 종교 개혁이라는 자신의 고정 관념에 의하여 판단하는 사람이었다. 따라서 당연히 그에게는 루터와 그 밖에 자기가 선정한 몇몇 “종교 개혁 신학자들” 범주를 넘어서는 그 어떤 이해도 단지 혼란과 이설로 밖에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편견에도 불구하고, 그가 미대륙을 횡단하면서 보수적인 재림교단 지도자들을 향하여 “로마 천주교식”의 신학을 견지하는 것에 대해 회개하라고 외치고 데스몬드 포드와 로버트 브린스미드의 견해를 격찬하는 강연을 했을 때, 그 강연장에는 많은 재림교인들이 참여하고 있었다. 한 가지 흥미 있는 것은, 비록 그가 재림교회의 성소교리에 결코 호감을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그는 강연 때마다 그 주제에 대해서만은 철저히 언급을 회피했다. 그가 포드 박사와 아주 절친한 사이였음을 볼 때, 아마 자기 친구를 생각하여 이 성소교리를 부인하는 포드의 입장을 섣불리 외치는 걸 애써 피하고 있었음을 우리가 추측할 수 있다.

1979년 10월 27일 안식일, 포드는 드디어 자신의 본색을 결정적으로 드러내면서 『교리에 대한 질문』이라는 수수께끼에 마지막 조각을 끼워 맞추었다. 왜 그랬는지는 포드 자신만이 알 것이다. 하여튼 그 날 30년 이상 자기는 재림교회의 성소교리를 믿지 않았노라고 공중 앞에서 자백하였다. 이것은 엘렌 화잇의 영감에 대한 그의 관념에도 문제성이 다분히 있음을 명백하게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그는 이러한 발언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에 대해 책임을 지고 기꺼이 자기 입장을 옹호할 태세를 취했다. 여하튼 그는 논리적인 사람이었다. 이미 잘못된 전제를 받아들인 그는, 적어도 그 전제를 논리적으로 타당한 최종적 귀결점까지 이끌어갈 만한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날은 많은 재림교인들에게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다. 어떤 이들은 포드의 발언을 좋아라 찬양했고, 어떤 이들은 놀라 뒷걸음치기 시작했다. 또 어떤 이들은 지구의 반대편인 호주에서 온 천재적 설교자에 대해 자기들이 늘 느껴왔던 불안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발견하고 슬퍼했다. 모든 사람에게 그날은 “그렇다면 재림신자들이 이제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라는 의문에 답해야 하는 하나의 결정적인 날이 되었다.

이런 상황을 배경으로 월터 마틴이 재림교회에 다시 접근해 왔다.

해명의 모색

때는 1980년 1월, 포드 박사가 예상 외로 갑자기 재림교회의 교리를 부인했다는 소식은 쏜살처럼 북상을 거듭하여 북위 49도 국경을 넘어 캐나다로 날아들어 갔다. 그 소식은 드디어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켈로우나 소재 오카나간 재림 고등학교의 한 성경 교사의 마음에 화살처럼 꽂혔다. 문제의 근원을 파헤치고자 했던 그는 자기 교회와 교단 지도자들이 도대체 무엇을 믿기에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를 조사해 보기로 결심했다. 그는 그보다 25년 전에 있었던 복음주의파 대표들과의 회합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확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월터 마틴에게 문의하는 편지를 썼다. “때로는 우리 교회가 무엇을 믿고 있는지 단정하기가 어렵군요. 우리 교회는 지금 분열되어 있습니까? 당신이 가진 자료 중에서 이 문제에 대한 나의 의혹을 단번에 풀어줄 수 있는 것이 있으면 부탁을 드리고자 합니다.” [31]

답신은 거의 한 해가 지난 후에 돌아왔다. 우선 “엄청나게 바쁜” 스케줄 때문에 회신이 늦어진 것을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말한 마틴 박사는 『교리에 대한 질문』을 경원시하는 재림교인들을 신랄하게 비난했다. 두말할 필요도 없이 그는 재림교회를 치밀히 관찰하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였다. 당시 재림교회의 일부 지도자들이 가진 태도는 “재림교단에 현재 나타난 균열을 더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뿐이다”고 그는 지적했다.

재림교회의 교리적 입장에 대한 그의 견해는 분명하였다: “사람이 케익을 보관하는 일과 먹는 일을 동시에 할 수는 없지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는 『교리에 대한 질문』을 지지해야만 합니다. 만일 지지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거짓을 위장하기 위해 그 책을 출판한 것이 됩니다. 나는 후자의 경우를 용납하지 않습니다. 모든 증거를 종합해 볼 때, 나는 전자의 경우를 믿을 수밖에 없습니다. 당신이 원하면 로이 앨런 앤더슨 박사에게 문의해 보시오. 그는 기억력이 월등하고 존경할 만한 분입니다. 그리고 확실한 사실에 근거하여 말하지만, 『교리에 대한 질문』이 취한 입장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은 결코 그들의 일구이언을 성공적으로 변명하지 못할 것입니다.” [32]

[역자 주] 로이 앤더슨 목사는 후에 자신이 깊이 관여했던 복음주의파 대표들과의 대화와 『교리에 대한 질문』의 출간이 재림교회에 불러온 악영향들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통감하는 듯했다. 최근 출간된 저서에서 허버트 더글러스는 다음과 같이 회상하고 있다: “앤더슨과 나는 일종의 부자(父子)와 같은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자주 우리 집에서 식사를 나누었으며, 내 자녀들이 그를 아주 존경하였다. 은퇴한 후에도, 특히 로마린다 지역으로 이주한 다음에도, 그는 정기적으로 적어도 매달 한번 꼭 전화를 내게 하곤 하였다. 이제는 많이 약화되어 깨끗하지 못한 음성으로 전화할 때마다, ‘허브, 우리 교회가 왜 이렇게 되었지?’ 라며 그는 탄식하곤 했다. 그럴때 마다 나는 그가 걱정하고 있는 대부분의 문제들이 바로 『교리에 대한 질문』의 출판에서 시작되었음을 말해주고 싶었지만, 차마 그럴 용기가 나지 않았다. 모범적인 설교자요 훌륭한 친구였던 앤더슨 목사는 1985년에 90세의 일기로 잠들었다.” (출처: 허버트 더글러스 저, 『A Fork in the Road: Questions on Doctrine, the Historical Adventist Divide of 1957』, 27 페이지)

재림교회에 대한 월터 마틴의 1980년대 중반 평가

이때의 월터 마틴은 1950년대의 월터 마틴보다 훨씬 더 막강한 실력자로 부상해 있었다는 사실을 독자는 알아야 한다. 그의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인 “성경 답변자”는 전국적으로 유명했고, 그가 창설했고 또 대표로 있는 기독교 문제 연구소(Christian Research Institute)의 활약으로 그는 현대 미국 기독교계에서 더 이상 경량급 학자가 아니었다. 당시는 그의 말과 글이 날마다 수백만을 상대로한 방송망을 통해 전 북미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마틴 박사가 1980년대 초기 재림교회에 일어난 내분에 다시 적극적으로 뛰어들 것이란 풍문이 간혹 들렸으나 그런 일은 없었다. 아마 그의 영향력은 밖에서 버티고 있을수록 더 위력을 발하기 때문에 뛰어들지 않았을 것이다. 1985년 4월, 마틴의 고전 『이단의 왕국』 제 36판이 출간되었다. 증보 개편된 이 책은 전체 544쪽으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에 할애된 부록은 그 전체 분량의 6분의 1에 해당되는 무려 92쪽에 달했다 (이는 여호와의 증인들에 할당된 것보다 무려 4쪽이나 더 많은 지면을 차지한 분량이었다). 이 책에서 마틴은, 비록 그 어떤 경고와 위협이 섞인 진중한 말로 표현하고 있었지만, 아직 재림교회를 이단이 아닌 그리스도교로 분류하고 있었다:

“나의 현재 입장으로는 원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에 대해 내가 처음 저서에서 총괄적으로 다루었으며 본서의 후반부에 수록된 평가를 그대로 고수하지 않을 수 없다.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주님만이 아시겠지만, 오직 앞으로 일어날 사태 여하만이 장차 나의 이런 평가가 수정될 필요가 있을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내가 바라고 기도하기는 현재 재림교회 안에 흐르는 이상 기류가 득세하지 못하여서, 좀 특이한 점이 있기는 하나, 그들이 계속 기독교의 일파로, 복음주의를 따르는 교파로 남아 있는 것이다.” [33]

다시 우리는 여기서 마틴이 사태를 주시하며 우리 교회 내부 사정에 관심을 버리지 않고 있었음을 엿보게 된다:

“최근 10년 동안 (1970년초 이후)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는 행정적으로 교리적으로 교단 역사상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대규모적인 혼란을 겪고 있다. 행정적으로는 상당수의 지도자와 목사들이 재정과 금융 부정 사건에 연루되어 면직을 당했고, 정부 차원에서는 국세청, 증권거래 관리소, 연방 수사국 및 법무 당국의 수사 대상이 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몇몇 합회 행정자들이 사기죄로 기소될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교리적으로는 복음주의 기독교 진영에 굳게 선 교인과 지도자들 그룹과 공로에 의한 의, 율법주의 및 창설자 엘렌 화잇의 선지자성을 고집하는 교인과 지도자들 그룹간에 심각한 대립으로 양파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있다. 만일 후자의 그룹이 득세하게 되면, 앞으로 이 교단은 복음주의 진영에서 벗어날 뿐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심지어 본격적인 이단으로 변질될 위험을 안고 있다.” [34]

마틴은 “재림교회가 1957년에 출판하였던 『교리에 대한 질문』의 권위에 대해 공개적이고 공식적인 재확인”을 도출하려는 의도에서 1983년 2월 대총회 앞으로 편지 한 통을 발송했다. 거기에 대해 1983년 4월 29일 자로 대총회 부회장 리처드 레셔(W. Richard Lesher)는 개인 자격으로 그에게 회신했다. 마틴이 인용 보고한 그 회신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당신은 첫 번째 질문에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가 1957년 당시 당신이 제시한 질문사항에 대해 『교리에 대한 질문』으로 대답한 내용을 지금도 옹호하고 있는가 물었습니다. 거기에 대한 답은 ‘예스’입니다. 당신은 편지에서 1957년 그 당시에 우리 교단이 그때 제공한 답변에 어떤 이들이 반대했음을 언급했는데, 오늘날에도 어느 정도 똑같은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는 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들 대부분은 『교리에 대한 질문』에 발표된 견해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35]

이 확언의 회신에 근거하여 월터 마틴은 다시 한번 온 세상에 재림교회가 최소한 그때 현재로서는 기독교의 한 교파임을 공포(公布)해 주었다.

재림교회의 교리를 장황하게 논하면서 마틴은 다시 속죄론 문제를 다루었다. 그는 이른바 재림교회가 아직도 “미완성된 속죄론”을 믿는다는 혐의를 일축하면서, 재림교회는 이제 속죄사업이 십자가에서 완성되었음을 믿는다고 강변(强辯)하였다. 이로써 마틴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가 한 세기 이상이나 가르쳐 온 교리, 즉 [십자가에서 완전 무결한 희생이 바쳐진 후] 지금 현재 하늘 성소에서 속죄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가르침이 “재림교단에 의해 거부되었다”고 말하고 있었다. [36]

놀랍게도 마틴 박사는 이 사상이 “다른 사람도 아닌 엘렌 화잇이 1901년 9월 21일 자 『리뷰 앤드 헤럴드』지에 기고한” 글에 나타나 있다고 주장하며, 그 글을 아래와 같이 인용했다:

“그리스도는 하늘과 땅 사이에 십자가를 세웠다. 아버지께서는 당신 아들의 희생을 바라보셨을 때, 그분의 완전함을 인정하시는 뜻에서 머리를 숙이셨다. 그리고 ‘족하다. 속죄는 다 끝났다(The atonement is completed)’ 라고 말씀하셨다.” [37] 그러나 이것은 사실 1901년 9월 24일 자 『리뷰 앤드 헤럴드』에 실렸던 글을 인용한 것으로, 인용문 마지막 낱말을 “completed”로 마틴이 인용하고 있으나 원문에는 “complete”로 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역자 주] “The atonement is completed”는 “속죄는 다 끝났다”라는 말이다. 그러나 원문은 “The atonement is complete”로 되어 있으므로 끝났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속이 완전 무결함을 의미한다. 이 원문에서 엘렌 화잇이 그리스도의 완전함을 언급하며, 하나님 아버지께서 “족하다”라고 하셨음을 말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우리는 그녀가 여기서 왜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에 대해 완전 무결함을 뜻하는 “complete”란 낱말을 사용했는지 이해하게 된다.

존 앵커버그 쇼

마틴은 그의 저서의 최후 개정판을 출판하고 얼마 후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명사 인터뷰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존 앵커버그 쇼”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의 대담 상대는 다름아닌 『애드벤티스트 리뷰』지의 편집자인 윌리엄 존슨(William  G. Johnson)이었다.

(일부에 의해 논쟁으로 치부되었던) 그 대담은 다섯 차례에 걸쳐 방영되었으나 실은 단번에 녹화된 프로그램이었다. 무대에는 월터 마틴과 윌리엄 존슨이 마주 앉아있고 사회자인 앵커버그는 마이크를 손에 들고 청중 사이를 누비며 필요한 질문을 던지거나 자기의 주견을 삽입하며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앵커버그는 먼저 『교리에 대한 질문』을 화제로 올리고, 그 책에 대한 반대가 있어왔던 사실을 언급했다. 그에 대해 존슨은 앤드리어슨이 그리스도의 인성과 속죄론에 대해 그 책이 취한 입장을 문제시하고 반대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조금도 주저함이 없이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지도자들이 『교리에 대한 질문』을 배척한 일이 없다”고 강조하면서, 자기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는 그 책이 여덟 번이나 재판을 거듭하며 총 15만 부나 배급되었음을 지적하였다.

대담의 상당한 부분은 주로 엘렌 화잇의 역할에 대해 할당되었는데, “그녀는 무오(無誤)의 성경 해석자입니까? 아니면 재림교인은 그녀의 권고 중에서 어떤 부분을 자의로 선택하거나 배척할 자유가 있습니까?” 라는 질문이 던져졌다. 하지만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우리의 입장이 올바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마틴이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었는데, 그가 엘렌 화잇이 초기에는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을 부인하다가 후일 입장을 바꾸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존슨은 그것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항의했으나 무대는 이 복음주의자 주최측의 이미 짜여진 각본대로 돌아갈 뿐이었다. [38]

마틴은 여기서 인위적으로 왜곡된 딜레마를 조작하였는데, 존슨은 어떻게든 거기에 대답을 해야 했다. 수세에 몰리기 싫어서인지 존슨은 성큼 “내가 대답해 드리지요. 그녀는 무오의 성경 해석자는 아닙니다” 라고 대답해 버렸다.

그것은 예로부터 능란한 논쟁자가 자주 쓰는 술책이었다. 그리고 그 술책은 언제나 잘 들어먹는 기막힌 덫이었다. 왜곡된 질문을 던져 놓고 거기에 대해 절대적인 대답을 끝까지 강요하는 술책인데, 그런 질문에는 그 질문의 약점을 먼저 다루지 않고서는 어떤 대답을 해도 부실한 답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화제는 때때로 성소교리 문제로 돌아갔다. 아니나 다를까 마틴은 히브리서에 대한 재림교회의 이해와 조사심판 문제를 가지고 트집을 잡았다. 존슨이 진리를 옹호하는 발언을 시작하자, 마틴은 잽싸게 말을 가로채면서 이 조사심판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는 몰라도 그런 심판은 믿는 사람의 구원에 전혀 영향을 줄 수가 없다고 쏘아 부쳤다. 그 때 앵커버그가 끼어들며 심판은 “상을 주기 위한 것일 뿐이다” 라고 자신의 생각을 표했는데, 사실 그런 식의 관념은 결국 심판의 중요성을 무효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뿐이다. “심판이 우리 면류관에 별이 몇 개 붙느냐, 얼마나 큰 하늘 맨션을 받느냐 하는 것과 혹시 상관이 있을지는 몰라도, 우리가 하늘에 가는 건 기정 사실인데 이런 심판이 무엇 때문에 필요합니까?” 라며 내던진 사회자의 수사식 질문에서 우리는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바이다.

이렇게 대담자와 사회자가 기승을 부리자 윌리엄 존슨은 그들을 진정시키느라 그러는지 “글쎄요, 나는 심판이 우리의 구원을 위해 있는 것이라고는 절대로 믿지 않습니다” 라고 말하였다. 그런 시인을 존슨으로부터 받아냈으니, 이번엔 다른 문제로 넘어갈 차례였다. 곧이어 앵커버그와 마틴은 존슨이 엘렌 화잇을 불신하는 말을 했으니 교단에서 면직당하지 않겠냐고 염려해 주는 척하며 그를 가지고 놀았다. 그러면서 데스몬드 포드도 (그의 입장에 대한 1980년 8월의 검토 후에) 쫓겨났으니 당신도 밀려날 것이 아니냐고 공공연히 추리하기도 했다.

대담 진행 중 청중이 질문에 참여한 부분은 극히 짧았다. 그중 특별히 우려할 만한 것은 자기를 재림교회 목사라고만 밝힌 한 사람의 다음과 같은 질문이었다:

“나는 존슨 박사에게 하나 묻고 싶습니다. 내가 그리스도인으로 생활하는데 있어서 1844년이 실제로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그것은 기독교계 전반과 우리 복음주의 교회들로부터 우리에게 수치와 오해를 불러올 뿐입니다. 왜 우리는 그것을 간단히 포기하지 않는 겁니까? 그 교리가 무슨 가치가 있습니까? 목사로서 나는 그 교리의 신앙적 가치를 단 한 푼어치도 발견할 수가 없습니다.”

물론 이런 공격은 시청자들에게 멋지게 먹혀 들었다. 그러나 우리는 소수의 교인들만이 성소와 그 의미에 대해 그저 막연하고 희미한 개념 이상을 깨닫고 있는 이러한 현실을 보면서, 한 백성으로서 뼈저리는 도전을 느껴야만 했었다. 사실 성소 문제에 대한 연구는 로버트 브린스미드에 의해 자극을 받은 이래 전반적으로 무시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 교리가 대쟁투의 마지막 단계에서 차지할 막대한 역할을 고려한다면 그런 무지와 태만은 변명의 여지가 없었다. 만일 우리가 더 이상 소홀히 하지 않고 크게 주목해야 할 교리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이 성소 교리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앵커버그는 재림교회가 본격적인 이단으로 변질되는 단계에 있는가 물었다. 거기에 대해 마틴은 예상했던 대로 그럴듯하고 조심성 있게 “아직은 아니지만 접근하고 있습니다.”라고 답변하였다. 복음주의자들의 사랑과 우려를 확인하는 말을 끝으로 그 시리즈는 막을 내렸다.

분규에서 위기로

그로부터 3년이 지난 1988년 여름, 마틴이 이끄는 기독교 문제 연구소는 “분규에서 위기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의 근황과 평가”라는 제목으로 여섯 쪽에 달하는 기사를 그들의 기관지인 『기독교 문제 저널』에 발표했다. 비록 필자는 그 기관의 연구원인 켄 샘플즈(Ken Samples)였지만, 그 맥락은 거의 30년 전 이미 월터 마틴에 의해 시작되었던 평가 절차의 연속이었다. 샘플즈는 우선 1955년 이후 진행된 재림교회와 복음주의자들과의 대화를 역사적으로 개관했다. 물론 역사적 재림신앙의 교리적 입장에 대해서는 군데군데 편견을 드러내 보였지만, 복음주의자들과의 회담과 『교리에 대한 질문』에 대한 설명은 대체로 정확했다. 역사적 연대를 더듬으며 샘플즈는 재림교회 안에 지금은 두 가지 판이한 재림신앙의 부류가 공존하고 있다는 자신의 분석을 논증했다: “『교리에 대한 질문』은 복음주의적 재림신앙의 근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그것은 또한 전통적 재림신앙을 지지하는 이들을 일깨워 활성화시키는 연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 책이 출판되자 존경받는 재림교단 학자였던 앤드리어슨은 『교리에 대한 질문』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그것은 재림교회의 신앙을 복음주의자들에게 팔아 넘긴 책이라 규탄했다. 그리고 몇 해 후 로버트 피어슨 대총회장 시절 두 유명한 학자인 케네스 우드와 허버트 더글러스도 또한 『교리에 대한 질문』이 출판된 것은 큰 잘못이었다고 주장했다.” [39]

두말할 필요도 없이 샘플즈와 마틴은 “전통적” 재림신앙보다는 “복음주의적” 재림신앙을 선호했다. 그들이 특별히 염려스러운 일로 간주한 것은 이들이 “신중하고 왕성한 학자” 라고 즐겨 부르던 데스몬드 포드의 목사 신임서를 재림교단이 회수하여 그를 파면시킨 사건이었다. 샘플즈의 글은 재림교단에서 나오는 혼동된 신호에 우려를 표함과 아울러 교단 내의 많은 사람이 아직도 시인하기를 거부하는 명백한 사실을 똑바로 지적했다: “대총회의 결정은 전통적인 재림신앙을 옹호하는 듯한 인상을 풍기고 있는데도, ‘사역자의 파면이나 권고 사직의 수단을 통하여’ 모든 복음주의적 영향을 제거하려 했던 사실을 부인하였다. … 그러나 많은 전직 재림교회 목사들과 성경 교사들은 그러한 주장에 강력히 이의를 제기할 것이다. 아직 복음주의적 신앙을 가진 재림교인이 많은 것으로 생각되나 [포드의 주장이 거부되었던] 글레이셔 뷰 총회 이후 그들이 잠잠해진 것은 확실한 사실이다.” [40]

재림교회내의 분규에 대해 이러한 분석을 제시한 후, 샘플즈는 그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맺었다: “전통적 재림신앙은 기독교가 아닌 이단으로 지탄을 받고 있는데. . . .최소한 그것은 정도(正道)를 벗어난 혼동된 신앙, 즉 성서 진리를 타협한 신앙으로 보여진다(예컨대, 칭의와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그들의 견해, 비성서적 권위에 의존하는 것 등을 보면 그렇다). 한 가지 더 지적해 둘 것은, 만일 전통적 재림신앙을 가진 자들이 계속 『교리에 대한 질문』에 표명된 입장에서 이탈하고 엘렌 화잇을 무오의 성경 해석자로 추앙할 경우 그들은, 이미 일부 재림교인들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언젠가는 확실한 이단으로 취급되고 말 것이다.” [41]

이 기사가 발표된 후 재림교회와 월터 마틴은 단 한번의 주목할 만한 대화를 더 가질 기회가 있었다. 로마린다의 캠퍼스 힐 교회에서 1989년 1월 26일에 있었던 두 번의 집회가 그 마지막 기회였다. 최후의 대화답게 이 두 모임은 우리에게 월터 마틴과 재림교회의 관계에 대해 의심의 여지 없이 가장 많은 것을 깨닫게 해 주는 계기가 되었다.

[역자 주] 칭의와 성화를 동시에 강조하며 그리스도께서 타락한 인성을 취하셨다는 견해를 이유로 전통적인 재림신앙을 “정도(正道)에서 벗어난 혼동된 신앙” 으로 규정한 샘플즈와 마틴의 비난은, 그들이 빠져 있는 칼뱅주의 신학사조의 선입견과 또 그 칼뱅주의적 이해만이 정통적인 기독교 신앙이라는 편협한 사고방식에서 나온 발상임을 우리가 냉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태도는 구원에 있어서 자유의지의 위치를 경시하는 칼뱅주의적 복음주의자들에게 편만한 경향이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세우신 구원의 계획에서 자유의지의 중요성을 부각한 아르미니우스주의 신학사조에 속한 많은 기독교인들과 신학자들은 당연히 칭의와 성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더불어 그리스도께서 죄인을 구하기 위해 인간의 타락한 본성을 취해야하는 당위성도 또한 강조하여 왔다. 그리스도께서 인간의 타락한 본성을 취하셨다는 입장은 엘렌 화잇을 비롯한 우리의 선구자들이 견지했던 역사적 재림신앙만의 고유한 입장이 아니다. 재림교회의 선구자들이 이러한 입장을 확고히 견지한 오랜 후인 1934년 이후부터, 근대 기독교 신학계에서는 칼뱅주의자들이 소위 “정통적” 이라고 주장한 그들의 기독론 (즉, 그리스도께서 유전의 법칙을 벗어나 아담이 죄를 짓기전에 가졌던 죄 없는 인성을 취하셨다는 입장)에 도전하여 역사적 재림신앙과 같은 기독론 (즉, 그리스도께서 죄인을 구하기 위해 아담이 죄를 지은후에 가졌던 타락한 인성을 취하셨다는 입장)을 주창하기 시작한 많은 개신교의 신학자들이 있다. 예를 들자면, 카를 바르트(Karl Barth), 에밀 브루너(Emil Brunner), 로빈슨(J. A. T. Robinson), 토렌스(T. F. Torrance),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에드워드 어빙(Edward Irving), 토마스 어스킨(Thomas Erskine), 헤르만 콜브뤼게(Hermann Kohlbrugge), 에두아르트 뵐(Eduard Böhl), 넬스 페레(Nels Ferre), 크랜필드(C. E. B. Cranfield), 해롤드 로버츠(Harold Roberts),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스타우퍼(E. Stauffer), 안데르스 니그렌(Anders Nygren), 바레트(C. K. Barrett),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d Pannenberg), 에릭 베이커(Eric Baker) 등이 있다. 그렇다면 마틴과 샘플즈는 이러한 개신교 신학자들도 이설자의 무리로 비난했어야 할 터인데, 그들이 차마 그럴 만한 지적 용기는 없었던 모양이다.

따라서 이렇게 일관성이 결여된 칼뱅주의적 복음주의자들로부터 그리스도 안의 한 형제로 대우받기 위해, 아르미니우스주의에 근거한 우리의 중요한 교리 일부를 슬쩍 처분코자 1950년대 당시 재림교회 대표들이 어정쩡한 태도를 취했는데, 그들이 그렇게 하는 대신 앤드루스 신학대학원 교수인 제리 문(Jerry Moon) 박사가 밝혔던 바 대로, “이 복음주의자들에게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신학적 이해를 논리적으로 더 높게 부연 및 정제한 개념으로서의 조사심판 교리의 중요성을, 그리고 우주적인 속죄의 완결에 필수적인 요건으로서의 죄의 도말을 당당하게 부각시켰더라면 훨씬 더 나은 결과를 성취했을지도 모른다.” (제리 문 박사의 연구서, 『M.L. Andreasen, L.E. Froom, and the Controversy over Questions on Doctrine』 1988)

로마린다 캠퍼스힐 교회의 집회

로마린다 캠퍼스힐 교회의 담임 목사 데이브 밴던버그(Dave Vandenburgh)와 부목사 래리 크리스토펠(Larry Christoffel)은 각종 사이비 종교의 움직임, 특히 캘리포니아에 널리 확산되고 있는 뉴에이지 운동 때문에 경각심을 가지고, 그 문제에 관한 세미나를 구상하고 있었다. 계획 단계에서 그들은 혹시 복음주의 교계의 권위자를 초빙해 오면 그 문제에 대해 무엇인가 배울 것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들은 샌 후안 카피스트라노에 있는 월터 마틴을 찾아갔다.

크리스토펠은 “우리는 마틴 박사의 사무실에서 여러 시간 재림교 신앙에 대해 이야기를 하게 됐지요.”라고 말했다. [42] 밴던버그는  “대화를 하다 보니 재림교회 이야기가 나오고, 어디로 가고 있고, 어디서 왔으며, 현재 어디에 와 있는지를 이야기했지요. 그때 보니까 켄 샘플즈가 재림교회에 대한 기사를 그들의 기관지인 『기독교 문제 저널』에 발표하려고 준비 중이더군요. 그 사람 말이 자기는 마틴-반하우스 두 박사들과 대총회와의 대화가 있은 다음, 『교리에 대한 질문』이 출판된 이후에 일어난 변화를 밝혀 내어 재림교회에 대한 재평가를 쓸 생각이라고 하더군요.”라고 설명했다. [43]

그 기사는 “분규에서 위기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의 근황과 평가” 란 제목으로 1988년 여름에 발표되었다. 그 기사를 읽은 두 목사는 마음에 부쩍 더 흥미를 느꼈다. 크리스토펠이 설명한다: “우리는 그 기사에 대한 반향을 들어보면 어떨까 생각했지요. 그래서 우선 로마린다 대학교의 종교학과를 접촉하고 그들의 반응을 떠봤지요. 우리는 또 합회장님도 만나서 우리가 하려는 일에 대해 말씀 드렸어요. . . .그러다가 최종적으로 결정을 본 것이 캠퍼스힐 교회에서 [마틴 박사와 그의 동료 켄 샘플즈를 초빙하여] 두 차례 모임을 갖도록 한 것입니다. 오전에는 [지역 내의] 목사들을 초빙해 놓고 질의응답 시간을 갖기로 했고, 오후에는 [대학의 종교학과] 교수들을 위해 다시 모였지요.” [44] 바로 이 마지막 두 모임을 통해 우리는 월터 마틴과 재림교회에 대해 가장 선명한 관찰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월터 마틴의 역사 회고

오전과 오후 집회의 개막과 동시에 월터 마틴은 등단하여 먼저 인사말을 한다. 예상했던 대로 그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 자기와 재림교회와의 인연을 설명한다. 그 역사는 우리가 이미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마틴의 이야기 중 어떤 부분은 그의 재림교회관을 상당히 잘 보여주는 재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출판 날짜는 다가오는데 그들은 이미 내 책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의 진실』을 읽어보았습니다. 그래서 『교리에 대한 질문』과 내 책을 SDA 서회들에서 함께 판매하기로 약속이 되어 있었는데 정작 내 책이 출판되어 나오니까 대총회가 태도를 돌변하여 약속 이행을 원치 않는 겁니다. 그래서 프룸, 리드, 언루, 앤더슨이 우리를 찾아와 심심한 사과의 뜻을 표하면서 자기들은 대총회가 이렇게 나올 줄은 몰랐다고, 미안하게 되었다고 말하더군요. 그 결과 우리만 비판자들에게 온갖 비난을 다 당하고, 대총회는 거기서 싹 빠졌습니다.” [45]

“오늘날 일부 비주류적인 재림교회 출판물들이 내가 앤더슨과 프룸과 리드와 언루의 팔을 비틀었다, 나의 강압적이고 역동적 개성이 그들을 궁지에 몰아넣고 꼼짝도 못하게 해놓고 달구치던가 어떻게 해 가지고, 그 가련한 영감님들이 재림신앙을 복음주의자들에게 팔아 넘기게 만들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 . .내 입술을 잘 보시오. 핏! 그건 순전히 헛소립니다. 자, 여러분은 오늘 참으로 귀중한 기회를 맞이했습니다. 지금 여러분은 유일한 생존자를 보고 계신 겁니다. 나는 거기 있었고, 그들이 하는 말을 들었고, 치밀하게 메모를 해 두었다가 그것으로 책을 하나 썼고, 나는 이제 그 책,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의 진실』을 다시 출판하려고 준비 중입니다. 지금 4개 출판사가 서로 그 책을 두고 경합을 벌이고 있습니다. 그들은 오늘 우리가 여기서 무슨 말을 하는지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쏟고 있습니다.” [46]

“내 평생에 가장 기뻤던 일은 재림교회를 알게 되면서 그들과 대화를 진행하던 중, 1970년 로이 앤더슨과 함께 예루살렘에 갔을 때의 일입니다. 로이 앤더슨이 성만찬 예식을 집전했는데, 그날 그에게 만찬을 받은 사람들은 20년 이전만 해도 그 양반 있는 쪽으로 눈길도 주지 않았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그를 사랑하는 형제라 부르고, 포옹하고, 사람들 앞에 이 사람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목사들의 머리되는 우리 믿음의 형제라고 소개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건 참 감격스러운 순간이었습니다. 그런 영광을 위해서라면 나는 언제라도 다시 그런 일을 할 생각입니다.” [47]

우리는 이 집회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한 국면을 보게 된다. 역시 마틴 박사는 재치가 빠른 사람이었다. 그는 자기가 무슨 말을 하던 이의를 제기할 목격자가 아무도 살아 있지 않다는 사실을 충분히 알고 있었다. 그는 확실히 자기와 자기 글의 영향력을 인식하고 있었고, 사람들 앞에 그 점을 과시하기를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그 모든 것과 더불어 그는 재림교회, 특히 복음주의적 재림신자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들에 대한 그의 지대한 관심과 사랑을 거듭 강조하며 이야기를 진행했다.

재림교회 목사들과 월터 마틴의 질의응답

오전 집회에 참석한 목사들은 마틴의 인사말이 있은 후 질문서를 제출할 기회가 있었다. 여러 가지 질문에 마틴 박사와 그의 동료 켄 샘플즈가 답변을 했는데, 흥미 있는 내용이 많았다.

질문: “당신은 왜 로마 천주교를 이단으로 분류하지 않습니까? 그들은 (a)믿음만으로 의롭게 됨을 믿지 않고, (b)교회 내지는 법왕이라는 무오의 성경 해석자가 있으며, (c)죄의 고백을 하나님께 하는 것이 아니고 사람에게 하며, (d)그 밖의 여러 가지 이설을 주장합니다.”

마틴: “글세요. 나는 로마 천주교를 배도한 교회로 분류했습니다. 나는 그들에게 교육을 받았고, 그들의 학교를 졸업했습니다. 그 교회는 구체적으로 어떤 면에서 배도한 교회입니다. 당신이 지적한 오류가 바로 그것입니다. 그렇지요. 그러나 내가 이단으로 분류하지 않은 이유는 천주교는 신학적으로 성서의 기본 교리를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로마 천주교인은 구원을 받을 수 있으나 여호와의 증인이나 몰몬교인, 크리스천 사이언스 신도나 뉴에이져는 안 되지요.”

샘플즈: “내 생각에 로마 천주교는 근본적으로 그 구조가 이단이라기 보다는 그 영향이 더 문제인 것 같습니다. 그 구조를 보나 신조를 보나, 당신네 표준으로 보나 우리 표준으로 보나 그들은 아주 정통입니다.”

마틴: “켄은 전에 천주교인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상당히 그 내막을 잘 알고 말하는 것입니다.” [48]

질문: “어떤 사람은 『교리에 대한 질문』을 SDA가 1950년대에 크게 신학적으로 변질된 증거로 봅니다. 그래서 그 책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리고 다른 한 편에는 그 책은 항상 SDA가 주장해 오던 것을 정화해 놓은 것에 불과하고, SDA가 오해 받거나 부당한 딱지가 붙게 만들 부분만을 손질한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어느 쪽이 진실입니까? 그것은 신학적 번복입니까? 아니면 항상 SDA가 주장하던 교리의 정화입니까?”

마틴: “내가 상대했던 사람들은 그것을 정화라고 했습니다. 그들의 입장은 재림교회의 문헌으로 입증할 수 있는 것이라 했고, 그들은 기본적 재림신앙에서 아무것도 바꾼 것이 없다고 강력히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한 가지 시인한 것이 있었는데… 그날 일이 내 기억에 생생하게 떠오릅니다. 그날 머독 박사, 헤펜스톨 박사가 동석해 있을 때, 그 문제가 제기되었는데… 그 양반들을 모셔온 이유는 우리가 성소교리, 성소, 지성소 등에 관해 히브리서를 해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때는 조지 캐논(George Cannon)이 나와 함께 오곤 했었는데, 그 사람은 벧엘 세미나리의 헬라어 교수를 지냈고, 나와 같이 왔을 때는 뉴욕의 나약 선교 대학에서 신학과 헬라어를 강의하고 있었고, 유니언 세미나리에서 헬라어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아주 명석한 학자였습니다. 아무튼 조지가 헤펜스톨 박사, 머독 박사와 이마를 마주 대고 헬라어 원문을 놓고 한 줄 한 줄 따져 내려가다가 아주 결정적 대목에 가서 걸렸어요. 다른 사람들은 그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들으려고 숨을 죽이고 있는데, 캐논이 머리를 들더니 두 사람을 쳐다보며 말하더군요. ‘더 이상 따질 게 없습니다. 본문이 분명하지 않습니까? 예수 그리스도는 부활 후 우리를 위해 영원한 구원을 이루시고 성소의 둘째 칸, 지성소에 당신 자신의 피를 가지고 들어가셨습니다. 이건 1844년의 일이 아닙니다. 이것을 그때(1844년) 일이라 할 수는 없지요.’ 라고.”

“그랬더니 두 신사는 한참 동안 원문만 뚫어져라 들여다봅디다. 그때 캐논이 ‘원문에 둘째 칸으로 들어간 거로 되어 있지요? 안 그래요?’ 라고 물으니까 헤펜스톨 박사가 ‘예, 둘째 칸으로, 지성소로, 부활 후 당신의 피를 가지고. 원문이 그렇게 되어 있군요.’ 라고 대답했습니다.”

“머독도 똑같은 말을 했습니다. 자, 그런데 여러분이 이 문제에 대해 데스몬드 포드의 글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아주 자세하게 잘 써놓았습니다. 아마 그 양반은 당신네 목사들 중에서 내가 만난 가장 구변 좋고, 모르긴 해도 재림신앙과 일반 신학 분야에 가장 뛰어난 석학일 것입니다. 여러분이 알게 되겠지만, 그 양반도 이 문제의 해석을 아주 잘 해 놓았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미 옛날에 다 밝혀진 것이었습니다.”

“여러분이 이 문제를 『교리에 대한 질문』에서 읽어보면 아시겠지만, 그들은 예수께서 하신 일에 대해 그 이해를 정화하는 입장에서 아주 깊이 있게 잘 써 놓았습니다. 사실 여러분이 그것을 정화로 보건 번복으로 보건 나는 상관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원문으로 돌아가자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원문이 뭐라고 했는가가 중요한 것이지, 누가 원문이 뭐라 했다더라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그건 로마주의지요. 난 거기에 아주 진절머리를 느끼는 사람입니다. 나는 교회에서 자라며 그러는 것을 너무 많이 보았기 때문에 정말 진저리가 납니다. 난 원문의 뜻이 뭐라고 누가 말하는 소리는 무시해 버립니다. 그래서 나는 원문의 뜻을 알고 싶어 원어를 배웠습니다. 그래서 나는 원문이 뭐라고 말하는지를 압니다. 원문은 1844년에 들어간 거로 되어있지 않습니다! 천만에요. 여보시오! 그게 말이 됩니까? 그렇게 믿으려면 믿으시라구요. 그러나 그런 말은 성경에 없습니다. 자 그러니까 그것이 정화가 아니면 번복일 수밖에 없지요. 이건 확실한 진리입니다.” [49]

[역자 주] 헤펜스톨과 머독이 시인했다고 월터 마틴이 주장하는 그 원문은 분명히 현대 번역본들의 근간을 이루는 알렉산드리아 사본그룹에 속한 헬라어 사본이었을 것이다. 신약성경 사본에는 에라스무스가 모아 편찬하였고 그 후 종교 개혁자들에 의해 수용된 ‘공인 사본’(Textus Receptus)의 근간을 이루는 비잔틴 사본그룹이 있고, 초대교회 시대 당시 영지주의를 비롯한 이설들이 난무하던 알렉산드리아 지방에서 산출된 알렉산드리아 사본 그룹이 있다. 원래 초대교회들에서는 이설들을 추종하던 사본가들이 변조한 내용을 담고있던 사본들을 철저하게 배격하여 널리 통용되지 않았는데, 그 중 ‘시나이 사본’(Codex Sinaiticus)이라 불리는 사본이 19세기에 들어와 시나이 반도에 있던 한 수도원의 쓰레기 통에서 발견되었던 바이다. 이 사본과 로마 카톨릭 성경본의 원문인 ‘바티칸 사본’(Codex Vaticanus)등이 현대 번역본들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변조된 사본들에 기초한 NIV와 같은 현대 번역본들은 히브리서 9장 12절에서 “지성소”(the most holy place)라고 번역하고 있지만, 초대교회 당시 널리 쓰이던 비잔틴 사본에 기반을 둔 KJV(흠정역) 성경은 이 구절에서 분명히 “성소”(the holy place)라고 번역하고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재림교회의 성소 교리를 공격해온 데스몬드 포드와 같은 사람들이 그들의 주장을 위해 항상 NIV와 같은 현대역본에 있는 히브리서 구절을 인용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인성 문제에 있어서 이 칼뱅주의적 복음주의자들의 입장을 견지하는 재림교회내의 인사들이 항상 KJV(흠정역) 성경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며 그것을 비하하는 주장을 일삼는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님을 재림성도들이 감지할 필요가 있다. 문제로 부각된 재림신앙의 고유한 교리들을 이 흠정역 성경본문이 명확하게 지지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예수께서 승천하여 성소로 들어갔는지 아니면 지성소로 바로 들어갔는지에 대한 히브리서 9장 12절의 의미에 대해 부연하자면, 히브리서 9장 12절에서 사용된 “ta hagia”라는 헬라어가 성소의 복수형이며, 신약에서 지성소를 지칭한 유일한 용어는 히브리서 9:3절에서 지성소로 번역된 “Hagia Hagion”임을 파악하면 이해하기 쉽다. 만일 바울이 같은 장 히브리서 9:12절에서 그와 같은 지성소를 의미했다면 “ta hagia”를 사용치 않고 “Hagia Hagion”을 사용했을 것이지 않겠는가? 이러한 이유로 흠정역 성경 번역자들이 그것을 지성소가 아닌 성소로 번역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마틴은 원문을 강조하면서 그리스도께서 승천 즉시 지성소로 들어갔다는 자신의 논지를 펴고 있는데, 그 원문이 어떠한 원문인가 하는 사실에 대해 그 당시 헤펜스톨과 머독이 분명히 이슈를 삼았어야 하였다. 소위 전문가로 자처하는 신학자라는 사람들이 어찌하여 객관적인 안목으로 자신들의 교리를 변증하고 복음주의자들의 편견에 대처하지 않았는지 참으로 의혹스러울 뿐이다.

이런 이야기를 읽거나 들을 때 누구나 역사적 재림교회의 진리를 믿는 사람이면 심기가 불편해짐을 느낄 것이며, 진정하기 어려운 무엇을 느낄 것이다. 그러나 거기 모였던 목사들 중에는 아무도 항변하거나 유감의 뜻을 표하는 이가 없었다. 다시 말하거니와 이 모임은 마틴 박사 외에는 현장의 증인이 단 한 사람도 생존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하여튼 우리 목사들과 마틴과의 사이에 진행된 문답을 좀 더 살펴보기로 하자.

질문: “우리가 교회를 변화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데스몬드 포드는 여전히 설교를 하고 있지만 신임서는 없습니다. 많은 사람은 그가 문제 제시를 정확하게 했다고 봅니다. 우리는 (a) 진리를 설교하며, (b) 장례식이 더 있기만 기다려야 합니까? 젊은 목사들은 보다 복음주의 쪽으로 기울고 있으니 말입니다. 아니면 뭔가 좀더 적극적으로 나가야 합니까?”

마틴: “여러분의 곤란한 입장을 잘 이해합니다. 특히 여러분은 재림교회 소속이기 때문에 화잇 부인이나 그 밖의 강경 노선에 밀려 궁지에 몰리는 입장이니 말입니다. 교단의 신임서도 받았고 목회나 그 밖의 책임을 맡고 있으니 교단 울타리 안에서 교회를 변화시켜 보자는 유혹이 있을 수 있겠지요. 그것은 1957년 『교리에 대한 질문』과 1960년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의 진실』이 나온 이래 줄곧 지금까지 수그러지지 않고 고개를 드는 생각인데 거기에 상당한 문제가 있는 게 사실입니다.”

“여하튼 각 사람은 마음속 깊은 곳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시간과 공간이란 관점에서 상당한 손실을 의미할 수도 있겠지만, 둘 중 어느 한 쪽을 선택하는 성찰과 투신, 진실의 순간이 있어야 합니다. 상당한 지위를 누리던 재림교회의 행정자, 목회자, 교사들이 더 이상 과거에 믿던 것을 선한 양심으로 받들 수 없어서 깃발을 들고 일어나 만인이 보는 앞에서 흔들어 경고하는 것을 볼 때, 나 개인으로서는 사랑과 굳은 결심으로 그렇게 일어서는 것이 장한 일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나는 다른 사람을 위해 성령의 역할을 할 수는 없고, 그들의 양심이 되어 줄 수도 없습니다. 이것이 그 문제에 대한 나의 소신입니다. 나는 포드가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의미에서 그는 현대판 마틴 루터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50]

엘렌 화잇에 대한 월터 마틴의 평가

예상했던 대로 마틴 박사는 화잇 부인에 대해 상당히 할 말이 많았다. 그렇게도 논리에 크게 의존하는 사람 치고는 놀랍게도 그의 주장에 큼직한 허점을 들어내고 있었다. 그는 화잇 부인이 적어도 간혹은 “초자연적 정보에 접한 경우”가 있었다는 것과, 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해 “주께서 때때로 그녀를 구체적으로 쓰신 사실을” 순순히 시인했다. [51] 동시에 그는 그녀의 글을 크게 헐뜯고 그녀를 하나의 “여자 교황” 이라고 악평했으며, 그녀는 영감을 오해하거나 미혹에 빠진 일이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지금 말하는 사람은 간혹 예언의 선물을 소유했으나 항상 소유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그녀는 실수할 수 있었고 성경 해석에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었습니다.” [52] 그의 저서 『이단의 왕국』에서처럼 마틴은 엘렌 화잇이 실수한 증거가 많다고 주장했으나, 이때 역시 그는 아무런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으므로 구체적으로 따져 볼 길은 없다. “글쎄요, 나는 문서 가방을 가지고 오지 않았습니다. 보시다시피 나는 그 점에 한도가 있습니다.” [53]

종전에 다루어졌던 주요 관심사인 성소론과 조사심판 문제도 토론의 주제로 올라왔다. 켄 샘플즈는 재림신자들이 구원에 대한 확신이 없어 고민한다는 가상적 우려를 표명했다. 샘플즈가 자기는 “중도적인 칼뱅주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말한 것을 기억한다면 그런 우려를 우리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칼뱅주의의 여러 분파를 일일이 곱아 가며 그들의 이론을 설명한 끝에 샘플즈가 자기의 견해를 밝힌 것은 다행인 일이었다: “참으로 거듭난 신자는 형벌을 받게 되지 않는다고 나는 믿습니다.” [54] 이것을 다른 말로 하면, 자기는 “한번 구원받은 자는 영원히 구원받은 자”라는 가르침을 믿는다는 말이 된다.

비록 마틴과 샘플즈가 공개적으로 그렇게 말한 것은 아니지만 조사심판 교리는 그들이 믿는 예정론이나 그에 따른 교리들과 융화될 수 없음이 분명했다. 언제나 칼뱅주의자들을 상대할 때는 그들이 중도파든 뭐든 간에 그런 문제가 있음을 알고 해야 한다.

항상 신학의 한 국면은 다른 국면에 영향을 주게 마련이므로 어느 한 가지 교리를 잘못 받아들이면 그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마틴 박사는 도덕률 폐기론의 위험을 이야기하다가 우연히 그의 사상을 노출했다: “우리가 믿음으로 율법을 무효화합니까? 아니지요. 우리는 율법을 세우지요. 그런데 단 한가지 거기에 따르는 두려운 문제는 우리는 율법을 지킬 수 없다는 점입니다.” [55] 우리는 그가 그 말 중간에 “우리의 힘으로는”이란 단서를 삽입했으면 하는 아쉬움을 느낀다. 그러나 슬픈 사실은, 칼뱅주의에 빠진 사람들은 믿는 자가 실족하지 않도록 지켜주시는 주님의 권능을 은연중 부인하는 것이다. 그들의 신앙 철학은 승천 이전에는 죄를 이길 수 없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엘렌 화잇은 물론 거기에 동의하지 않는다: “사단은 아담의 자녀들이 하나님의 율법을 지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 선언하고, 그러므로 하나님은 지혜와 사랑이 부족하다고 비난했다. 그들이 율법을 지킬 수 없다면, 그 율법을 주신 분이 잘못한 것이다. 사단의 조종을 받는 사람들은 인간이 하나님의 법을 지킬 수 없다는 주장으로 그 비난을 되풀이하고 있다. 예수께서 자기를 낮추시고 당신의 신성 위에 인성을 입으신 것은 인간 가족의 머리와 대표로서 육신을 쓰시고 죄를 이기심으로 사단의 비난이 거짓임을 교훈과 모본으로 입증하시기 위함이었다.” [56]

바로 이 점 때문에 칼뱅주의는 대단히 위험한 가르침이다. 칼뱅주의적 편견은 마음의 눈을 가려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오신 진정한 목적을 보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날은 우리에 대해 그렇게도 많이 아는 한 사람에 관하여 무언가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매우 흥미 있는 하루였다. 한가지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34년이나 하나님의 남은 교회를 치밀하게 관찰하느라고 노심초사한 월터 마틴 박사가 어쩌면 그렇게도 자기 마음에 드는 기별을 하나도 찾을 수 없었다는 말인가? 혹시 우리의 잘못 때문일까? 그렇다면 지금쯤 우리는 그 원인을 알아야 하지 않는가? 우리의 잘못이 무엇이었든 슬픔을 금할 길이 없다. 아! 너무 늦었다. 35년 전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를 대표했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도 너무 늦었고 월터 마틴 박사를 위해서도 이제는 너무 늦었다.

월터 마틴의 사망

로마린다에서 있었던 그 두 번의 모임은 우리가 월터 마틴에게 재림교회의 특별한 기별을 보여 줄 수 있는 최후의 기회였다. 그로부터 5개월 후인 1989년 6월 26일 아침 그는 갑자기 심장마비로 그의 지상 순례를 끝내고 말았다. 동시에 재림교회와 월터 마틴의 긴 이야기도 끝이 났다.

우리는 많은 회고담을 나눌 수 있을 것이다. 배워야 할 교훈도 많고, 하고 싶은 말도 수없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될 두 가지 유명한 말이 있다. 하나는 월터 마틴이 한 말이고 하나는 엘렌 화잇의 말이다.

월터 마틴: “우리는 지금 재림교회 안에서 균열 현상이 점점 심해지는 것을 봅니다. 이 문제는 아무리 숨기고 위장을 해도 치유되지 않을 것이며, 결국엔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이 아니면 그 이후에, 우리가 방금 여기서 숨을 쉬고 있는 것이 확실한 것처럼 결국 그 때문에 재림교회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수다한 난제들이 그 내부에서 일어남을 보게 될 것입니다.” [57]

엘렌 화잇: “나는 단호히 말합니다. 우리의 유일한 안전책은 주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결에 있습니다. 우리는 세상 사람들의 우의(友誼)를 잃는 것 쯤은 감수할 줄 알아야 합니다.” [58]

재림교회의 자기 평가

인생을 살다 보면 간혹 자기의 생각을 반성해야 할 필요가 생긴다.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 신자인 우리도 때로는 우리가 믿는 진리가 올바른 것인가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 오류를 믿고 있다면 좋을 것이 없고, 또 어떤 사람이, 그가 누구든지간에, 우리에게 보다 선명하게 진리를 깨우쳐 줄 수 있다면, 그의 하는 말을 듣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독자는 월터 마틴이 재림교회에 대해 퍼부은 비난에 상당한 근거가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품게 되었는지 모른다. 지면 관계로 마틴의 교리적 입장을 본서에서 충분히 평가하지 못하는 것을 유감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근본적 문제를 간단히 정리해 보기로 한다.

월터 마틴은 30년이 넘도록 역사적 재림교회의 가르침을 문제시하고 반박했다. 그가 문제시한 가르침이란 제7일 안식일, 짐승의 표, 죽은 자의 상태, 악인의 최후 멸망, 재림, 다니엘 8장의 2,300 주야 예언, 하늘 성소, 조사심판, 속죄론, 예언의 신, 그리스도의 인성, 그리고 남은 교회의 개념이었다.

이런 여러 가지 교리를 그가 문제시하고 반박했으나 그것은 재림교회를 비난하는 개신교 학자들이 항상 해오던 이야기의 연속이었다. 그들의 반박에 대하여는 역사적 재림신앙을 밝히 해설하는 수많은 재림교회 문헌이 유효 적절하게 대처해 오고 있었다. 그런데 마틴 박사의 경우는 종전의 어떤 반대자보다 더 깊이, 더 완벽하게 조직 신학적 측면에서 능수 능란한 공격을 가해 왔다는 데 차이가 있을 뿐이다. 모든 진리는 일관성 있고 통일된 전체 속에 융화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영속성이 없다는 단순한 진리를 마틴 박사는 잘 알고 있었다.

그는 많은 재림교회 교리를 공박했지만, 재림교회에 대한 그의 처음 저서를 쓸 때부터 재림교회와의 마지막 접촉을 가질 때까지, 소위 “지엽적” 문제들을 기꺼이 무시할 줄 아는 아량이 있었다. 극히 드문 일이긴 했으나, 그는 심지어 엘렌 화잇의 영감을 간혹 인정하는 너그러움까지 보였다. 그러나 그는 어떤 점에 대해서는 완전한 벽창호였다. “재림교회는 좀 이상합니다” 라고 한 마디 던져 놓고는, “그러나 단 그들이 이런 저런 것을 믿는 한 그들은 크리스천입니다.” 라고 휘어잡곤 했다.

월터 마틴의 평가 기준

그러면 그는 우리가 무엇을 믿어야 한다고 고집했는가? 마틴 박사의 심중에 도사리고 있던 두 가지 필수적 교리는 다른 것이 아니라, 십자가에서 속죄 사업이 다 끝났다는 설과 그리스도의 인성은 타락한 인성이 아니었다는 교리였다. 남이 뭐라든 만일 재림교회가 이 두 점에만 동의한다면, 자기는 그들을 크리스천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그는 강경하게 주장했다.

이 두 교리를 심사숙고해 보는 것은 깊은 의미가 있다. 이 두 교리는 카톨릭 교리와 칼뱅주의를 떠받드는 두 초석이 되고 있는 만큼, 우리는 마틴 박사가 그 둘을 그렇게 중요시한 것이 우연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물론 그보다 더 근본적인 신학 문제로 “죄란 무엇인가?”를 다룰 수도 있을 것이다. 아무튼, 마틴 박사가 이 두 교리를 고집했다는 것은 그 의미가 자못 비상한 것이다.

속죄 사업이 다 끝났다는 신앙은 결과적으로 그리스도인은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수 없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천주교 교리에 의하면 그리스도는 십자가에서 속죄하는 제사장의 일을 마침으로써 막대한 공을 쌓았으므로 죄인은 지상의 사제들과 마리아와 성자들의 중보를 통해 그의 공덕을 힘입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칼뱅주의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속죄 사업을 다 끝냈음으로 구원 문제는 인간의 결심 여하와 전혀 무관한 것으로 믿는다. 바로 이 신앙에서 예정론과 그 사촌벌 되는 “한번 구원받은 자는 영원히 구원받은 자” 라는 주장이 나온다.

그러므로 어느 형태의 칼뱅주의를 선호하든지 일단 속죄 사업이 십자가에서 다 끝났다는 교리를 받아들이면, 하늘 성소에서 진행되는 그리스도의 중보 교리는 설 자리가 없어진다. 그 하나가 일단 무너지면, 다른 진리들도 즉시 힘을 잃고 만다. 그리스도의 하늘 성소 봉사가 없다면, 하늘 성소는 무슨 소용이 있으며, 소용도 없는 성소를 정결케 할 필요는 또 무엇이겠는가? 그래서 다니엘의 2,300 주야 예언은 헛소리가 되어 버리고, 남들보다 더 위대하고 특별한 진리를 선포할 것이 없는 남은 교회는 있으나 마나 한 존재가 되어 버리지 않겠는가?

두말할 필요도 없이 월터 마틴이 그 두 점에 재림교회의 양보를 요구한 것은 사실상 오류의 세력 앞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한 것이나 다름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완성된 속죄론은 조건의 절반에 불과했다. 그러면 나머지 조건은 무엇이었나?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고찰

그리스도의 인성 문제는 새로운 것이 아니고 수세기 동안 다양한 이론을 주장하는 학파들 간에 논란이 거듭되어 온 문제이다. 최근에 와서는 이것이 너무나 논란이 심한 문제라 하여 언급을 회피하려는 경향까지 생겨났다. 회피한다고 문제가 사라질까? 이 문제를 논하지 말자고 열변을 토하는 사람들 중에는 종종 기회만 있으면 자기의 견해를 내세우는 이들이 있다. 논쟁은 유쾌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것이 성경 진리를 기피할 충분한 이유는 되지 못한다. 그런 태도는 성경의 모든 가르침을 사장(死藏)시킬 위험이 있다.

유능한 조직신학자답게 월터 마틴은 당연히 자기가 신봉하는 일반 신학에 융화되는 그리스도의 인성론을 내세웠다. 이 교리는 그의 재림교회 평가에 있어 치명적으로 중요했다. 이것을 그가 양보할 수 없는 두 교리 중의 하나로 고집한 데에는 그럴 만한 이유와 배경이 있었다. 불행히도 마틴이 우리에게 받으라고 강요한 이 교리는 사도 요한이 신약 성경에서 구체적으로 지적한 적그리스도의 표라는 사실을 우리는 특별히 명심해야 한다.

“사랑하는 자들아, 모든 영을 다 믿지 말고 그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는지 시험하라. 이는 많은 거짓 선지자들이 세상에 나왔음이니라. 하나님의 영을 너희가 이렇게 알지니,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모든 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시인하지 아니하는 모든 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그것이 오리라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지금 그것이 이미 세상에 있느니라.” (요한일서 4:1-3, 킹제임스역).

“미혹하는 자가 많이 세상에 나왔나니,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임하심을 부인하는 자라. 이것이 미혹하는 자요 적그리스도니” (요한이서 7절).

어떤 사람들은 이 구절들이 문제의 논쟁과는 상관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말씀은 확실히 그리스도의 인성 문제를 다루고 있다. “육체”란 말은 그리스어 성경에서 “σαρξ” 인데 [‘사르크스’로 발음한다] 이 말은 신약 성경 어디서나 타락한 인간의 본성을 의미하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러면 사도들이 이 낱말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요한 1:14).

“육으로 난 것은 육이요, 영으로 난 것은 영이니” (요한 3:6).

“살리는 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는 말이 영이요 생명이라.” (요한 6:63).

“내 속 곧 내 육신에 선한 것이 거하지 아니하는 줄을 내가 아노라. 원함은 내게 있으나 선을 행할 능은 없노라.” (롬 7:18).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 .율법이 육신으로 말미암아 연약하여 할 수 없는 그것을 하나님은 하시나니 곧 죄를 인하여 자기 아들을 죄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보내어 육신에 죄를 정하사 육신을 쫓지 않고 영을 쫓아 행하는 우리에게 율법의 요구를 이루어지게 하려 하심이니라. 육신을 쫓는 자는 육신의 일을, 영을 쫓는 자는 영의 일을 생각하나니 육신에 있는 자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느니라. 만일 너희 속에 하나님의 영이 거하시면, 너희가 육신에 있지 아니하고 영에 있나니,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영이 없으면 그리스도의 사람이 아니니라.” (롬 8:1, 3-6, 8, 9).

“육체의 일은 현저하니 곧 음행과 더러운 것과 호색과 우상 숭배와 술수와 원수를 맺는 것과 분쟁과 시기와 분 냄과 당 짓는 것과 분리함과 이단과 투기와 술취함과 또 그와 같은 것들이라. 전에 너희에게 경계한 것 같이 경계하노니 이런 일을 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것이요.” (갈 5:19-21).

“크도다 경건의 비밀이여, 그렇지 않다 하는 이 없도다. 그는 육신으로 나타난바 되시고 영으로는 의롭다 하심을 입으시고 천사들에게 보이시고 만국에서 전파되시고 세상에서 믿은바 되시고 영광 가운데서 올리우셨음이니라.” (딤전 3:16).

[역자 주] 영지주의에 영향을 받아 변조된 알렉산드리아 사본들에 기준한 현대 번역본(개역성경)과 비잔틴 사본에 기준한 KJV(흠정역)의 한 중요한 차이점을 바로 그리스도의 성육신 문제를 다룬 요한일서 4:2-3에서 우리가 관찰할 수 있다.

개역성경의 요한일서 4:2-3한글 킹제임스역의 요한일서 4:2-3  
이로써 너희가 하나님의 영을 알지니 곧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오리라 한 말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지금 벌써 세상에 있느니라하나님의 영을 너희가 이렇게 알지니,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모든 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시인하지 아니하는 모든 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그것이 오리라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지금 그것이 이미 세상에 있느니라.

킹제임스역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시인하지 아니하는 모든 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라고 분명하게 기록하고 있지만, 개역성경은 그것이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고, 그저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마다” 로만 되어있다.

‘육신’의 의미

여기서 우리가 살펴본 “육신”, “육체” 또는 “육”이란 말은 모두가 헬라어의 “σαρξ[사르크스]”란 말을 번역한 것이다. 이 헬라어는 또한 로마서 8:6에서 “육신의 생각(carnally minded)”으로 번역된 단어에 사용되고 있다. 물론 이 말은 육신의 몸, 우리가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몸,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혈육의 몸을 의미하기도 한다. 문제는 사도 요한이 적그리스도의 가르침을 경고하기 위해 사용한 육신이란 말이 무엇을 뜻하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먼저 그의 경고는 이중으로 되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σαρξ”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즉 그런 영은 모두 하나님께 속한 영이요, 예수께서 “σαρξ”로 오신 것을 부인하는 영마다, 즉 그런 영은 모두 하나님께 속한 영이 아니라 했으니, 이것 아니면 저것이지 중립이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역자주: 저자는 여기서 킹제임스 성경을 인용하고 있다]

독자는 혹시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공언하면서 예수께서 가지셨던 몸이 사실상 육신의 몸이 아니었다고 가르치는 사람을 본 일이 있는가? 로마 천주교가 이 점에 대해 무엇이라고 가르치는지 아는가? 천주교는 다른 모든 기독교 종파와 마찬가지로 예수께서 사실상 혈육을 가지셨던 것으로 가르친다. 천주교 교리에 의하면 예수께서 지상에 계실 때 소유하셨던 몸은 우리 몸과 같은 실제적 혈육의 몸이었다.

그러면 적그리스도는 어디로 숨어 버리는가?

그러나 그리스도의 인성 문제를 다시 신중히 들여다볼 때 그림은 갑자기 달라진다. 이유는 간단하다. 만일 죄를 이기신 그리스도께서 쓰셨던 육신이 우리의 육신과 본질적으로 아무런 차이가 없었음이 밝혀진다면, 마귀의 전략은 즉각 그 힘을 잃게 된다.

그러므로 그런 강력한 진리를 적그리스도가 한사코 반대할 것은 자명한 이치이다. 그래서 그리스도의 인성은 우리와는 달리 죄를 이기는 어떤 유리한 점이 있었다는 인식을 그는 계속 고수해야 하는 것이다. 천주교는 이것을 위해 성모 마리아의 무염시태(無染始胎)란 교리를 이용한다. 많은 사람은 이것을 예수께서 마리아에게 잉태되었을 때를 말하는 것으로 오해하나, 실은 마리아가 자기 어머니 배 속에 잉태되었을 때를 말하는 것이다.

[역자주] 즉 마리아가 잉태되었을 때 그녀는 하나님의 섭리로 원죄의 영향에서 기적적으로 벗어나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죄 없는” 자식을 낳을 어머니로 특별히 준비되었다는 것이 바로 이 무염시태설이다.

이처럼 그리스도를 우리보다 월등하게 유리한 입장에 놓는 것이 너무도 중요했기에 천주교는 완벽을 기하기 위해 한 세대를 거슬러 올라가서 가공적으로 원죄의 흔적이 전혀 없는 성모 마리아를 꾸며냄으로써 예수는 우리와 같은 “σαρξ”로 올 수 없었다는 이론을 의심의 여지 없이 다져 놓으려 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르침은 언제 어디서 어떤 형태로 나타나던지 의심의 여지 없는 적그리스도의 표인 것이다.

[역자 주]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그리스도께서 아담이 죄를 짓기 전에 가졌던 “죄 없는 인성”을 소유하고 태어나셨다는 “타락 전 인성론”이나 그와 유사한 “복합적 인성론”을 믿는 이들은 사실상 로마 카톨릭교의 무염시태(無染始胎)설을 받아들이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다. 오직 한 가지 차이점은 그들이 그 무염시태를 마리아의 잉태에서 예수의 잉태로 한 세대 미루었다는 점일 뿐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입장이 얼마나 로마 카톨릭의 이설적인 교리에 가까이 근접해 있는지를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재림교회 안의 혼란 상태

그러나 불행히도 그것쯤은 알아야 할 재림교인들 마저 이 문제의 근본을 모르고 혼동되어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엘렌 화잇은 이렇게 썼다: “나에게 많은 사람이 편지하기를, 예수께서 사람의 인성과 같은 인성을 소유했을 수가 있느냐, 만일 그랬다면 유사한 유혹이 왔을 때 그분도 실수하지 않았겠는가고 묻는다.”

그러면 그녀는 어떻게 대답했는가? “만일 그가 인간의 본성을 갖지 않으셨다면, 우리의 본이 되실 수 없다. 만일 그가 우리의 인성을 받지 않으셨다면, 우리가 유혹받는 것처럼 유혹을 받으실 수 없었을 것이다. … 그리스도께서 하나의 인간으로 오셔서 인류를 위해 투쟁하신 것은 엄숙한 진리이다. 그의 유혹과 승리는 인류가 그의 본을 따라야 할 것과 인간이 신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되지 않는 한 승리할 수 없음을 말해 준다.” [59]

이 모든 논리 전개는 그것 자체가 흥미롭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점은 이것이 재림교회가 이단의 낙인을 받지 않기 위해 월터 마틴으로부터 받아들여야 했던 두 조건 중의 하나였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의 마음에는 아직 풀리지 않은 의문이 있을 것이다. 엘렌 화잇이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한 적이 있었다고 마틴 박사가 주장했는데, 그녀가 그랬던 적이 정말 있었을까? 그리고 마틴 박사는 또 우리의 히브리서 해석이 틀렸다고 말했는데, 그게 정말 사실일까?

이런 것들은 다 좋은 질문이다. 그러면 좋은 답이 있는가? 불행히도 우리가 만족할 만치 시원한 답은 없다. 그 이유는 이러한 질문 자체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마틴 박사는 자기의 이 두 가지 주장을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한 일이 결코 없었는데, 그런 모호한 비난을 반증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마틴 박사는 엘렌 화잇이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한 때가 있었다고 주장했으나, 그녀가 어디서 그렇게 주장했는지 구체적 증거를 한 번도 제시한 일이 없었다. 우리의 히브리서 해석이 틀렸다고 했을 때도 어디서 어느 장 어느 절 해석을 우리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조차 밝힌 일이 전혀 없었다.

그의 이런 주장들이 부당함을 입증할 수 있을까? 물론이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히브리서를 전부 샅샅이 분석해 보고, 엘렌 화잇의 모든 글을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조사해 보아야만 가능하다.

그러면 그의 말을 믿을 만한 어떤 근거라도 있는가? 그런 것은 전혀 없다. 아무리 살펴봐도 없다.

확실한 증거를 제시하며 도전한 것도 아니고, 막연히 아무 근거도 확증도 없이 퍼붓는 강변처럼 모순을 증명하기 어려운 것은 아마 세상에 다시없을 것이다. 마틴 박사도 그것을 잘 알았을 것이다.

각 주

[1] Kenneth R. Samples, “From Controversy to Crisis: An Updated Assessment of Seventh-day Adventism,” Christian Research Journal, Summer 1988.

[2] T. E. Unruh, “The Seventh-day Adventist Evangelical Conferences of 1955-l956,” Adventist Heritage, vol. 4. no. 2,38

[3] Samples, “From controversy to Crisis”

[4] Unruh, 41

[5] Donald Grey Barnhouse, “Are Seventh-day Adventists Christians?” Eternity, September l956, reproduced in The M. L. Andreasen File; Manuscripts and Letters Pertaining to the Evangelical Conference of 1955-1956; 107; compiled by Jeff Reich, available from Laymen Ministry News Publishing, Rt. 4 Box 94-C, St. Maries, ID 83861.

[6] Ibid., 108.

[7] Ibid., 110; emphasis in original.

[8] For a discussion of the September l956 and April l957 Ministry articles, see Ralph Larson, The Word Was Made Flesh, Cherrystone Press, Cherry Velley, CA,(1988), 224-228, 232-240.

[9] This article is discussed at length by M. L. Andreasen in a letter written February 15, l957, reproduced in Reich, 1.

[10] See Reich, 1.

[11] Ibid., 41. See also M. L. Andreasen, Letters to the Churches, available from Leaves of Autumn Books.

[12] See Reich, 51.

[13] Ibid.

[14] Ibid., 54.

[15] Andreasen, Letters to the Churches 70-73; emphasis in original.

[16] Reich, 103-104.

[17] Minutes of the 1961 Spring Council filed in General Conference archives (See Virginia Steinweg, Without Fear or Favor: The Life of M. L. Andreasen, 180.

[18] Reich, 106.

[19] For an enlightening and much more in-depth account of this time period, see Russell R. Standish and Colin D. Standish, Adventism Challenged, volumes one and two, available from Hartland Publications.

[20] See Geoffrey Paxton, The Shaking of Adventism, Zenith Publishers, Wilmington, DE, (1977),107-115.

[21] Ibid., 112.

[22] See Robert D. Brinsmead, 1844 Re-examined.

[23] Verdict, June 1981.

[24] For a complete summary of this passage, see Ralph Larson, The Word Was Made Flesh, 249-259

[25] For an excellent summary of the developing discussion of the Human Nature of Christ, see Bruno W. Steinweg, The Doctrine of the Human Nature of Christ Among Adventists Since 1950, revised edition.

[26] Thomas A. Davis, Romans for the Everyday Man, 105; quoted in Steigweg, 10.

[27] Herbert E. Douglass, “The Humanity of Son of God Is Everything to Us,” Review and Herald, December 23, 1971; quoted in Steinweg, 10.

[28] Letter, Douglass to Steinweg, January 12, 1986; quoted in Steinweg, 12.

[29] Review and Herald, May 27, l976; quoted in Steinweg, 15.

[30] Jack D. Walker, Adventist News Service, published by the author, Route 2, Box 319-C, Goodlettsville, TN 37072; quoted in Steinweg, 13.

[31] Letter, Willard L. Santee to Walter Martin; copy held by the author.

[32] Letter Walter Martin to Williard Santee; copy held by the author.

[33] The Kingdom of the Cults, Zondervan, (1985), 410.

[34] Ibid.

[35] Ibid.

[36] Ibid., 434.

[37] Ibid.

[38] 마틴은 그의 저서 『이단의 왕국』에서도 엘렌 화잇의 사역을 장황하게 논하는 중, 그녀가 초기에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을 인정치 않는 소위 “아리우스주의” 입장을 견지했다는 비판을 가하였다. 하지만 그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그가 전혀 제시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존슨 목사가 그러한 증거에 대해 무지했던 것을 나무랄 수 없는 일이다.

[39] Samples, 12.

[40] Ibid., 14 (emphasis supplied).

[41] Ibid.

[42] Meeting Between Walter Martin, Ken Samples, and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Religion, Loma Linda University (Loma Linda and La Siera Campuses) at Linda Hall of The Campus Hill Seventh-day Adventist Church on Thursday, January 26 from 1 to 3 P.M.,” 1. This 56 page typewritten transcript presents the dialogue of the second of two meetings held on this date; hence it will hereafter be referred to as Transcript Two.

[43] “Walter Martin and Ken Samples Meeting with Ministers, Loma Linda Campus Hill Seventh-day Adventist Church, January 26, 1989,” 3. This 57 page typewritten transcript present the dialogue of the first of two meetings held on this date; hence it will hereafter be referred to as Transcript One.

[44] Transcript Two, 1.

[45] Ibid., 6.

[46] Transcript One, 11-12.

[47] Ibid., 18.

[48] Ibid., 25-27.

[49] Transcript One, 31-33.

[50] Transcript One, 40-41.

[51] Transcript One, 38.

[52] Transcript Two, 28-29.

[53] Transcript One, 35.

[54] Transcript Two 36-38.

[55] Ibid., 48.

[56] Signs of Times, January 16, 1896.

[57] Transcript Two, 12.

[58] The Paulson Collection, 206.

[59] 『가려뽑은 기별』 1권, 408쪽.


데이브 피들러(DAVE FIEDLER) 장로는 오랫동안 재림교회 중·고등학교와 대학에서 성경, 영어 및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로 일하였다. 그는 개인적 헌신과 연구로 기독교 역사, 특히 재림교회 역사에 남달리 깊은 일가견을 가진 학도로서, 1996년 교사 생활로 분주한 가운데서도 288페이지에 달하는 저서 『HINDSIGHT: Seventh-day Adventist History in Essays and Extracts』를 저술하여 출판하였다.